서비스기획 32

67. SaaS UX 기획 시리즈 ❷ 리텐션을 높이는 UX 구조 설계

SaaS는 유입보다 유지가 더 중요하다. 가입한 사용자가 다음 달에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이번 글에서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드는 UX 전략, 즉 리텐션을 설계하는 관점에서의 UX 기획 방법을 정리해본다. 리텐션 UX의 핵심 :  왜 다시 들어와야 하는가?사용자가 앱을 닫고 나서 다시 돌아올 이유가 없다면, 유료 전환은커녕 무료 이용도 오래 가지 않는다.기획자는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한다.사용자는 어떤 동기에서 이 서비스를 다시 찾을까?습관처럼 다시 들어오게 만들 수 있는 요소가 있는가?다음 방문까지 연결되는 흐름은 충분한가?리텐션을 높이는 UX 전략 5가지1. 습관화 구조 만들기캘린더, 알림, 루틴 설정, 반복 업무 관리 등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진입..

66.SaaS UX 기획 ❶ | 온보딩, 이탈을 막는 설계의 시작!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이탈하는 시점은 생각보다 빠르다. 대부분 첫 진입 후 몇 분 이내에 떠날지, 남을지가 결정된다.그래서 온보딩(첫 사용 경험)은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이 서비스, 계속 써야겠다”는 느낌을 주는 ‘설계된 흐름’이어야 한다. 1. 온보딩의 핵심 목표는 ‘익숙하게 만들기’온보딩은 튜토리얼이 아니다. 기능을 하나하나 설명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여정이다.Notion템플릿 추천 → 바로 사용 가능 첫 문서 작성 → 마크다운 편집바로 ‘내 공간’처럼 느끼게 만듦2. 좋은 온보딩 흐름이란?1) 최소한의 입력만 받기회원가입/로그인 시: 이름, 이메일 정도만너무 많은 초기 정보 요구 = 진입장벽2) 기능 소개는 ‘체험’으로 제공하기단순히 툴팁을 나열하는 게..

65. SaaS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의 개념과 성공적인 SaaS 기획 방법

SaaS(Software as a Service)는 이제 스타트업과 IT 업계에서 가장 핫한 비즈니스 모델 중 하나이다.대표적인 예로는 Notion, Slack, Figma, Google Workspace, Salesforce 같은 서비스들이 있다.사용자들은 별도 설치 없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언제 어디서나 사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SaaS를 선호하고 있다.SaaS는 구독 모델이 많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그렇다면 SaaS란 정확히 무엇이고, SaaS 비즈니스를 기획할 때 어떤 요소를 고려해야 할까? 오늘은 SaaS의 개념과 성공적인 서비스 기획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1. SaaS란? (Software as a Service의 개념 이해)SaaS(서비스형 소프..

64. 기획자가 챗봇을 기획한다면? ChatGPT와 함께하는 챗봇 기획 & 설계 가이드

챗봇(Chatbot)은 이제 단순한 FAQ 답변을 넘어서, AI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다.기업 고객센터, 이커머스, 핀테크, 모빌리티 서비스 등에서 챗봇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음ChatGPT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더 자연스럽고 똑똑한 챗봇을 만들 수 있음하지만 기획자가 챗봇을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오히려 사용자 경험(UX)이 나빠질 수도 있음요즘 나는 서비스 기획을 하면서 자체적으로 챗봇을 기용하고 싶었다. 그렇다면 기획자가 챗봇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고, 실행은 못했지만 이 글에서는 챗봇 기획 및 설계 방법, 그리고 ChatGPT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1. 챗봇을 기획하는 이유: 왜 챗봇이 필요한가?기획자가 챗봇을 기획할 때 가장 먼..

63. PM을 위한 리뷰 스킬(효과적으로 피드백하고 성장하는 리뷰 문화 만들기

PM(Product Manager, 프로젝트 매니저)는 회사에서 수많은 리뷰를 진행해야 한다.디자인 리뷰, 기획 리뷰, 개발 리뷰, 사용자 피드백 리뷰까지, 잘못된 리뷰 방식은 팀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효과적인 리뷰 방식은 팀을 성장시키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그렇다면 PM은 어떻게 리뷰를 잘할 수 있을까? 내가 매번 고민하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내용은, PM이 실무에서 리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다.  1. 리뷰의 목적: 단순한 평가가 아닌 성장의 기회많은 PM들이 리뷰를 할 때 잘못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이거 잘못됐어.” → 문제만 지적하고 해결책이 없음“이전 버전보다 별로야.” → 구체적인 개선 방향이 없음“그냥 다시 해봐.” → 피드백이 명확하지 않음리뷰의..

58. 광고 수익형 UX 기획,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는 광고 모델 만들기

광고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사용자 경험(UX)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많은 서비스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지만, 잘못된 광고 배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이탈률을 높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광고 수익과 UX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PM를 하면서 상품이 시장이 나가기 전에 기본적인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사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이 있다면, 내가 도움되었던 원칙? 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광고 수익형 UX 기획이 중요한 이유 많은 서비스가 광고(Ad)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가 사용자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과도하게 노출되면, 오히려 서비스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잘..

57. UX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과 활용법

데이터 분석은 더 이상 데이터 전문가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만의 일이 아니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도 데이터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 Making)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개념과 방법을 정리해본다. 데이터를 활용해 기획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UX 기획에서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과거 UX 기획은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기반 UX 기획의 장점 ..

56.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의 PG사 개념과 운영 방식

최근 온라인 결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PG사(Payment Gateway, 결제 대행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는 자체적으로 PG 시스템을 운영하며, 결제 경험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각 간편결제 서비스가 PG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기존 PG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정리해본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 혹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다시 PG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1. PG사(Payment Gateway)란?PG사는 온라인 결제에서 카드사, 은행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결제 대행사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KG이니시스, KCP, NICE페이 같은 전통적인 PG사를..

55. 토스 위젯, PG사, 결제 로직 심화 분석

이전 글에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의 UX 로직을 다뤘다. 하지만 요즘 간편결제는 더 발전하고 있다.토스(Toss)처럼 위젯을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도 있고, 결제 프로세스의 핵심 역할을 하는 PG(Payment Gateway)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간편결제 서비스를 설계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들을 더 깊이 다뤄보겠다. 1. 토스(Toss) 위젯 결제: 간편결제의 또 다른 방식https://pay.toss.im/토스는 단순한 금융 앱을 넘어, 간편결제 UX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서비스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처럼 결제 수단으로 연동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위젯 기반 결제’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토스 결제 UX 특징위젯 방식 제..

54. UX 기획자가 알아야 할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

최근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간편결제(Payment UX)를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모빌리티 서비스, 콘텐츠 구독 플랫폼까지 사용자의 결제 경험을 더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기 위해 간편결제를 도입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다. 저도 매번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회원정책 만큼이 중요하게 설계하고 검토하는 것이, 결제시스템 구축과 PG사 선정과 그 PG에 따른 UX에 대해서 고민하고, 이 때마다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다. 나와 같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기획자들의 도움을 돕기 위해 내가 참고했던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UX 기획자의 입장에서 간편결제 시스템을 단순히 ‘버튼 하나 추가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어떤 방식으로 결제 프로세스를 설계할 것인가?”“어떤 간편결제 서비스를 연동해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