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는 유입보다 유지가 더 중요하다. 가입한 사용자가 다음 달에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글에서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드는 UX 전략, 즉 리텐션을 설계하는 관점에서의 UX 기획 방법을 정리해본다.
리텐션 UX의 핵심 : 왜 다시 들어와야 하는가?
사용자가 앱을 닫고 나서 다시 돌아올 이유가 없다면, 유료 전환은커녕 무료 이용도 오래 가지 않는다.
- 기획자는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한다.
- 사용자는 어떤 동기에서 이 서비스를 다시 찾을까?
- 습관처럼 다시 들어오게 만들 수 있는 요소가 있는가?
- 다음 방문까지 연결되는 흐름은 충분한가?
리텐션을 높이는 UX 전략 5가지
1. 습관화 구조 만들기
- 캘린더, 알림, 루틴 설정, 반복 업무 관리 등
-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진입하게 만드는 흐름
- 예 : Todo 서비스의 데일리 알림 / 회고 메시지 자동 전송
2. 성과 피드백 시각화
- “내가 뭔가를 하고 있다”는 감각을 주는 구조
- 마이데이터, 사용 리포트, 완료 목록 등으로 만족감 제공
- 예 : 슬랙 → ‘지난주 당신의 활동 리포트’
3. 라이프사이클 기반 메시지 제공
- 신규 유저, 7일차 유저, 30일차 유저에게 다른 메시지를 보내는 설계
- 예: “이번 주는 새로운 기능 써보세요!” / “마지막 로그인 이후 XX일이 지났습니다”
4. 개인화된 홈 & 추천 환경
- 내가 자주 사용하는 기능 위주로 정렬
- 최근 작업한 것부터 바로 이어서 할 수 있게 설계
- 예 : Notion, 피그마의 최근 문서 영역
5. 커뮤니티 또는 콘텐츠 연계
- 유저들이 만든 템플릿, 워크스페이스 공유
- 써보면서 다시 서비스로 유입되는 구조
- 예 : 노션 템플릿 갤러리 → 클릭 → 내 계정으로 복사
실무에서 자주 활용하는 리텐션 장치들
- 매주/매월 활동 리포트 메일 발송
- 사용하지 않은 기능 안내
- ‘나만을 위한 추천 기능’ 제안
- 온보딩 이후 일정 기간 내 리마인드 메시지
- 친구 초대 시 리워드 → 유저 네트워크 확장 유도
기획 단계에서 던질 질문
- 사용자가 이 서비스에 다시 들어올 이유는 충분한가?
- 반복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콘텐츠나 기능이 있는가?
- 특정 사용자군에게 맞는 맞춤형 메시지를 제공하고 있는가?
- 리텐션이 높은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고 있나?
마무리 요약
- 리텐션 UX는 단순히 알림을 보내는 게 아니라,“다시 돌아올 이유”를 설계하는 일이다.
- 사용자의 흐름과 감정을 이해하고, 그들이 머물 이유를 UX로 풀어내는 것이 진짜 기획이다.
- 성공적인 SaaS는 유저를 ‘모으는 것’보다, ‘머물게 하는 구조’를 먼저 설계한다.
반응형
'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9. SaaS UX 기획 시리즈 ❺ : SaaS 수익, 결국 유료 전환 UX에 달렸다! (0) | 2025.03.25 |
---|---|
68. SaaS UX 기획 시리즈 ❸ Aha Moment – 이거다! 싶은 순간을 만드는 방법 (0) | 2025.03.24 |
66.SaaS UX 기획 ❶ | 온보딩, 이탈을 막는 설계의 시작! (0) | 2025.03.22 |
65. SaaS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의 개념과 성공적인 SaaS 기획 방법 (0) | 2025.03.21 |
64. 기획자가 챗봇을 기획한다면? ChatGPT와 함께하는 챗봇 기획 & 설계 가이드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