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4

103. UX 기획자가 이탈 없이 가입/결제를 설계하는 방법

서비스를 기획할 때 가장 중요한 구간 중 하나가 바로 '가입'과 '결제'입니다. 아무리 멋진 서비스도 가입이 어렵거나, 결제가 복잡하면 사용자는 이탈합니다. 그래서 UX 기획자는 가입과 결제 플로우를 설계할 때 반드시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오늘은 가입과 결제 흐름을 설계할 때 꼭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봅니다.1. 가입 플로우 기본 구조 가입 진입 '회원가입' 버튼 위치는 명확해야 한다. 로그인과 회원가입 버튼을 구분하거나, 회원가입을 부각해야 한다. 인증 단계 이메일 인증 / 휴대폰 인증 / 소셜(SNS) 간편가입 제공 여부 결정 인증 수단이 복잡하면 이탈률이 급격히 높아진다. 기본 정보 입력 최소한의 정보만 요청하..

56.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의 PG사 개념과 운영 방식

최근 온라인 결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PG사(Payment Gateway, 결제 대행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는 자체적으로 PG 시스템을 운영하며, 결제 경험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각 간편결제 서비스가 PG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기존 PG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정리해본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 혹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다시 PG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1. PG사(Payment Gateway)란?PG사는 온라인 결제에서 카드사, 은행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결제 대행사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KG이니시스, KCP, NICE페이 같은 전통적인 PG사를..

55. 토스 위젯, PG사, 결제 로직 심화 분석

이전 글에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의 UX 로직을 다뤘다. 하지만 요즘 간편결제는 더 발전하고 있다.토스(Toss)처럼 위젯을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도 있고, 결제 프로세스의 핵심 역할을 하는 PG(Payment Gateway)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간편결제 서비스를 설계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들을 더 깊이 다뤄보겠다. 1. 토스(Toss) 위젯 결제: 간편결제의 또 다른 방식https://pay.toss.im/토스는 단순한 금융 앱을 넘어, 간편결제 UX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서비스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처럼 결제 수단으로 연동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위젯 기반 결제’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토스 결제 UX 특징위젯 방식 제..

54. UX 기획자가 알아야 할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

최근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간편결제(Payment UX)를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모빌리티 서비스, 콘텐츠 구독 플랫폼까지 사용자의 결제 경험을 더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기 위해 간편결제를 도입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다. 저도 매번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회원정책 만큼이 중요하게 설계하고 검토하는 것이, 결제시스템 구축과 PG사 선정과 그 PG에 따른 UX에 대해서 고민하고, 이 때마다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다. 나와 같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기획자들의 도움을 돕기 위해 내가 참고했던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UX 기획자의 입장에서 간편결제 시스템을 단순히 ‘버튼 하나 추가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어떤 방식으로 결제 프로세스를 설계할 것인가?”“어떤 간편결제 서비스를 연동해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