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기획 35

89. 기획서보다 먼저, 문제부터 정의하자

기획서는 PM에게 있어 기본 중의 기본이죠. 하지만 정말 실무에선, 기획서보다 먼저 챙겨야 할 게 있습니다. 바로 ‘문제 정의’입니다. 아무리 기획서가 잘 짜여 있어도, 문제를 잘못 정의했다면 결국 잘못된 방향으로 리소스를 쓰게 돼요. 시간도, 비용도, 협업자의 노력도 엉뚱한 곳에 쓰이죠. 기획서보다 중요한 ‘문제 정의’많은 PM들이 실무에서 기능을 먼저 설계하려고 합니다. “뭘 만들까?”에 초점을 맞추죠.하지만 ‘왜 만들까?’, 이게 불분명하면 팀 전체가 흔들립니다. 기획서의 시작점은 기능이 아니라 문제여야 합니다. 문제가 명확해야, 그걸 해결하기 위한 설계가 명확해지고,개발자와 디자이너, 운영자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어요. 문제 정의가 잘못되면 생기는 일각자 다른 문제를 가정하고 설계함우선..

87. 기획자가 자주 쓰는 단축키 모음 (Figma / Notion 중심)

기획자는 매일 키보드 앞에서 일한다. 기획서 작성, 디자인 확인, 흐름 정리, 커뮤니케이션까지 — 생각보다 ‘작업 속도’가 실무 퀄리티에 영향을 준다. 이번 글에서는 Figma와 Notion을 중심으로, 기획자들이 자주 쓰는 단축키를 정리해본다. 매일 쓰는 툴이니까, 익혀두면 시간 단축이 체감된다.  1. Figma에서 꼭 써야 할 단축키 Figma는 디자이너 툴 같지만, 기획자도 와이어프레임이나 흐름도 그릴 때 직접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단축키 하나만 알아도 클릭 횟수가 줄고, 문서 정리 속도가 확 줄어든다.Shift + A → Auto layout 만들기.정렬 잡을 때 필수. 컴포넌트 간 간격도 조절 가능.T → 바로 텍스트 도구 실행.클릭보다 훨씬 빠르게 텍스트 작성 가능.R, O, L → 사각형..

86. 기획자라면 꼭 알아야 할 용어 10가지 (PM/UX 용어편)

기획자는 말로 일하는 사람이다. 그래서 실무에서 자주 쓰는 용어들의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와도 자연스럽게 협업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 기획자부터 3년 차까지, 실무에서 반드시 마주치는 용어 10개를 정리해본다. 1. MVP (Minimum Viable Product)가장 핵심적인 기능만 담은 ‘최소 기능 제품’시장 반응 확인용으로 빠르게 출시하는 목적“이걸 써보고 사용자가 진짜 원하나?”를 테스트완성보다 빠른 시도와 개선이 핵심2. A/B Test두 가지 버전을 비교하여 더 나은 결과를 확인하는 실험 방식주로 버튼 색, 문구, 위치 등 UI 요소에 사용클릭률, 전환율 비교를 통해 데이터 기반 개선3. CTA (Call to Action)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

85. 애자일 회고(Retrospective) 제대로 하는 법

애자일 스프린트를 마무리하면 항상 따라오는 시간, 바로 회고(Retrospective)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이런 반응이 많다.“그냥 다들 조용히 앉아만 있어요…”“칭찬만 하다가 끝나요.”“문제는 뻔한데, 해결은 늘 다음에.” 회고는 단순한 피드백 시간이 아니라, 팀이 성장하는 구조를 설계하는 핵심 루틴이다. 이번 글에서는 애자일 회고의 개념, 목적, 잘하는 방법, 실무 팁까지 모두 정리해본다. 1. 회고란 무엇인가?회고(Retrospective)는 하나의 스프린트(반복 주기)가 끝난 후 “무엇이 잘 되었고, 무엇을 개선할 수 있는가”를 팀이 함께 돌아보는 시간이다.회고 = 정답을 찾는 시간이 아니라,다음 스프린트를 더 잘하기 위한 설계 시간이다. 2. 회고의 핵심 목적목적설명팀 내 정서 확인일정·협업..

84. 애자일 팀에서 기획자/PM의 역할 정리

“애자일 팀에서 기획자는 뭘 해야 하죠?”“PM은 PO랑 같은 건가요?”“매일 데일리 미팅만 하다 끝나는 거 같아요…” 애자일 방식이 확산되면서 기획자·PM의 역할에 대한 혼란도 많아졌다. 이번 글에서는 애자일 환경에서 기획자(UX 기획자/서비스 기획자), PM(Product Manager)의 핵심 역할과 마인드셋을 정리해본다. 1. 애자일 팀에서의 기본 구조애자일 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로 구성된다. PO (Product Owner): 제품 방향과 우선순위 책임디자이너 / 개발자: 실제 제품을 만드는 팀원기획자 / PM: 흐름과 요구사항 정의 + 협업 조율현실에서는 기획자 + PM = PO 역할 일부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2.  기획자(UX/서비스 기획)의 역할 사용자 중심의 흐름 설계사용자..

82. 애자일이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우리 팀은 애자일로 일해요.”“이번 프로젝트는 스크럼 방식이에요.”“애자일인데 왜 일정이 이렇게 빡세요?” 실무에서 ‘애자일’이라는 말은 많이 쓰이지만, 정작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오늘은 실무자, 특히 기획자·PM 관점에서 애자일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자주 생기는 오해와 현실 적용 시 유의할 점을 정리해본다. 1. 애자일이란?Agile(애자일)은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개발 방식이다.2001년 ‘애자일 선언(Agile Manifesto)’을 통해 정립되었고, 기존의 워터폴(순차적 개발) 방식과는 다르게 짧은 주기로 반복하며 빠르게 피드백하고 개선하는 구조다. 2. 애자일의 4가지 핵심 가치핵심가치설명개인과 상호작용도구보다 사..

79.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❺ 숫자에서 시작된 UX 리디자인

이전 글들에서 퍼널 분석, 단계별 UX 설계, CTA 전략 등을 다뤘다면 이제는 실무에서 진짜로 퍼널 기반으로 UX를 어떻게 바꾸고 전환을 끌어냈는지 사례를 통해 정리해보자. 퍼널 기반 UX 리디자인은 단순히 화면을 예쁘게 바꾸는 게 아니다.사용자 흐름을 수치로 확인하고, 전략적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설계의 결과다. 사례1. 가입 전 이탈율이 높던 SaaS 서비스 문제 상황랜딩 → 가입 클릭까지 전환율 60%가입 클릭 → 가입 완료 전환율 25%가입 도중 이탈 원인 불명UX 개선 포인트필수 입력값 축소: 이메일/비밀번호만 우선‘가입 완료 후 추가 정보 입력 가능’ 문구 추가소셜 간편가입 버튼 상단 배치가입 중 로딩 시간 개선개선 후가입 완료율 25% → 44% 상승가입 중 이탈율 절반 이하로 감소요약퍼널..

78.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❹ 전환 흐름, 이제는 데이터로 말할 때

좋은 UX 설계는 감이 아니라 근거에서 나온다. 아무리 화면을 잘 구성해도, 실제 사용자 흐름이 전환되지 않는다면 그 퍼널은 실패한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기획자와 PM이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퍼널 분석 지표와 해석 방법, 그리고 UX 개선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 도출 포인트를 정리한다. 퍼널 분석이란? 퍼널 분석은 사용자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사용자 수의 변화(이탈/전환)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주로 다음과 같은 흐름을 기준으로 분석한다:서비스 진입탐색특정 기능 사용CTA 클릭전환 완료이때 단계별 전환율과 이탈율을 정량적으로 파악해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퍼널 분석에서 자주 쓰는 핵심 지표지표설명실무활용전환율 (Conversion Rate)특정 단계 →..

77.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❸ 전환, 버튼 하나로 달라진다

사용자 행동은 단순히 ‘좋은 기능’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 어떻게 유도되느냐가 중요하다. UX 기획자가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민해야 할 3가지 요소 : CTA(Call To Action) 문구, 노출 타이밍, 배치 위치 / 이번 글에서는 전환 퍼널에서 UI 요소가 사용자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설계해야 전환으로 연결되는지 전략적으로 정리해본다. 1. CTA 문구 – 말 한 줄이 클릭을 결정한다 CTA(Call To Action)는 행동 유도 문구다. 버튼에 들어가는 짧은 문장이지만, 사용자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좋은 CTA 문구의 특징명확한 동작 안내 (예: “무료 체험 시작하기”)클릭 후의 결과가 예측 가능부담을 줄이는 표현 (..

76.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❷ 가입부터 전환까지, 흐름을 만드는 기획

UX 설계는 단순히 ‘예쁘게 보이는 화면’을 만드는 게 아니다.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에서 가입 → 탐색 → 행동 → 전환 까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흐름을 기획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글에서는 퍼널 흐름을 3단계로 나눠, 각 단계에서 UX 기획자가 고려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한다. 1단계 : 가입(Entry) – 진입 장벽을 낮춰라 가입 단계는 서비스 진입의 첫 관문이다. 이탈이 가장 많은 구간 중 하나이기 때문에, UX 설계에서 장벽을 낮추고, 흐름을 단순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UX 전략 예시소셜 로그인 도입 (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가입 → 바로 체험’ 흐름 설계선택 입력 최소화, 필수 입력만 우선 받기“가입 후에도 수정 가능해요” 식 문구로 부담감 완화가입 중 이탈 방지용 저장 기능 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