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기획 33

54. UX 기획자가 알아야 할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

최근 대부분의 서비스에서 간편결제(Payment UX)를 지원하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모빌리티 서비스, 콘텐츠 구독 플랫폼까지 사용자의 결제 경험을 더 빠르고 간편하게 만들기 위해 간편결제를 도입하는 것이 기본이 되었다. 저도 매번 서비스를 기획하면서 회원정책 만큼이 중요하게 설계하고 검토하는 것이, 결제시스템 구축과 PG사 선정과 그 PG에 따른 UX에 대해서 고민하고, 이 때마다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웠다. 나와 같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기획자들의 도움을 돕기 위해 내가 참고했던 글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가장 중요한 점은 UX 기획자의 입장에서 간편결제 시스템을 단순히 ‘버튼 하나 추가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어떤 방식으로 결제 프로세스를 설계할 것인가?”“어떤 간편결제 서비스를 연동해야..

49. BM(비즈니스 모델) 찾기 : PM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방법

저 뿐만이 아닌, 많은 PM들이 제품을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이 서비스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을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하는 고민을 한다. 특히, 모빌리티 서비스와 같이 플랫폼 비즈니스에서는 BM(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더욱 중요하다.“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고, 이를 어떻게 수익으로 연결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제가 고민하고 고민하는 중인 BM을 찾는 과정과 모빌리티 서비스를 예시로 수익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1. BM이 왜 중요한가?비즈니스 모델(BM, Business Model)은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수익을 얻는지에 대한 설계도다.PM 입장에서 BM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수익을 내는 것을 넘어서, 지..

34. UX 디자이너에서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

저는 UX 디자이너로 시작해 UX 기획자로 전환했고. 그 과정이 단순한 직무 변경이 아니라, 사고방식과 접근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어려운 과정이었습니다. 디자인을 넘어 서비스의 흐름과 기능을 고민해야 했고, 개발과의 협업에서 논리적인 사고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깨닫고 있어요. 저처럼 고민하는 동료들이 도움이 되었음 합니다  UX 기획자로 전환하며 마주한 고민들1) 화면 중심에서 서비스 전체 흐름을 고민해야 한다UX 디자이너로 일할 때는 사용자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주요 업무였습니다. 그러나 UX 기획자가 되면서, 단순히 개별 화면이 아니라 서비스 전반의 구조와 기능 설계를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였어요. 느낀 점 : 처음에는 디자인적인 감각이 기획에서도 강점이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