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asux 4

69. SaaS UX 기획 시리즈 ❺ : SaaS 수익, 결국 유료 전환 UX에 달렸다!

SaaS 서비스의 수익 구조는 명확하다.유입 → 사용 → 유료 전환그 중에서도 기획자가 가장 고민하는 건 ‘무료에서 유료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SaaS 유료 전환을 높이는 UX 흐름 설계 전략을 실무 기준으로 정리해본다. ‘과금 버튼’ 하나 잘 배치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 행동과 흐름 중심으로 설계하는 게 핵심이다. 유료 전환 UX의 핵심 : 타이밍, 맥락, 필요성사용자가 유료로 전환하는 결정은 대부분 감정이 아니라 “지금 이 기능이 필요한데, 유료 플랜이어야 가능하네?” 라는 합리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기획자는 이를 위해 다음 3가지를 설계해야 한다.타이밍 : 전환 제안은 너무 빠르거나 늦지 않아야 한다맥락 : 현재 사용 흐름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필요성 : 유료 플..

68. SaaS UX 기획 시리즈 ❸ Aha Moment – 이거다! 싶은 순간을 만드는 방법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지 말지를 결정짓는 순간이 있다. 바로 Aha Moment. 사용자가 “이거 되게 괜찮네”, “계속 써봐야겠다”라고 느끼는 경험의 임계점이다. 이 순간을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이탈율도, 리텐션도, 유료 전환율도 갈린다.   Aha Moment란?Aha Moment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처음으로 체감한 순간을 의미한다.즉, 이 서비스를 왜 써야 하는지 ‘몸으로’ 느끼는 경험이다. 예를 들어 : 이 모든 순간은 “이 서비스 진짜 쓸만하네”라는 판단을 유도한다Notion: 템플릿으로 문서 하나 만들고, 정리된 나만의 공간이 생겼을 때Figma: 다른 디자이너와 동시에 작업해보며 실시간 협업이 된다는 걸 느꼈을 때Slack: 채널 초대..

67. SaaS UX 기획 시리즈 ❷ 리텐션을 높이는 UX 구조 설계

SaaS는 유입보다 유지가 더 중요하다. 가입한 사용자가 다음 달에도 계속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이번 글에서는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게 만드는 UX 전략, 즉 리텐션을 설계하는 관점에서의 UX 기획 방법을 정리해본다. 리텐션 UX의 핵심 :  왜 다시 들어와야 하는가?사용자가 앱을 닫고 나서 다시 돌아올 이유가 없다면, 유료 전환은커녕 무료 이용도 오래 가지 않는다.기획자는 다음 질문에 답해야 한다.사용자는 어떤 동기에서 이 서비스를 다시 찾을까?습관처럼 다시 들어오게 만들 수 있는 요소가 있는가?다음 방문까지 연결되는 흐름은 충분한가?리텐션을 높이는 UX 전략 5가지1. 습관화 구조 만들기캘린더, 알림, 루틴 설정, 반복 업무 관리 등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자동으로 진입..

66.SaaS UX 기획 ❶ | 온보딩, 이탈을 막는 설계의 시작!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이탈하는 시점은 생각보다 빠르다. 대부분 첫 진입 후 몇 분 이내에 떠날지, 남을지가 결정된다.그래서 온보딩(첫 사용 경험)은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이 서비스, 계속 써야겠다”는 느낌을 주는 ‘설계된 흐름’이어야 한다. 1. 온보딩의 핵심 목표는 ‘익숙하게 만들기’온보딩은 튜토리얼이 아니다. 기능을 하나하나 설명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여정이다.Notion템플릿 추천 → 바로 사용 가능 첫 문서 작성 → 마크다운 편집바로 ‘내 공간’처럼 느끼게 만듦2. 좋은 온보딩 흐름이란?1) 최소한의 입력만 받기회원가입/로그인 시: 이름, 이메일 정도만너무 많은 초기 정보 요구 = 진입장벽2) 기능 소개는 ‘체험’으로 제공하기단순히 툴팁을 나열하는 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