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경험 13

90 “피드백 = 기능? 오해하면 망합니다”

서비스 운영을 하다 보면 꼭 듣는 피드백이 있죠.“이 버튼 위치가 불편해요.”“이런 기능 있었으면 좋겠어요.”이건 왜 이렇게 복잡하죠?” 우리는 이 피드백을 최대한 빠르게 반영하려고 합니다. 고객 중심, 유저 퍼스트, 민첩한 대응… 다 맞는 말이죠. 그런데, 피드백을 곧장 기능으로 바꾸면 오히려 실패할 수 있어요.왜일까요? 피드백 = 니즈일까?고객이 말한 피드백은 대부분 ‘겉으로 드러난 불편’입니다. 하지만 그 말 뒤에는‘진짜 바라는 것’이 숨어 있어요. 예를 들어“즐겨찾기 버튼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라고 말했을 때, 정말 즐겨찾기 버튼이 필요한 걸까요? 사실 그 사람은 자주 쓰는 기능을 빠르게 접근하고 싶다는 의미일 수도 있어요. 즉, 해결책을 말한 게 아니라, 겪고 있는 문제를 말한 것일 수도 있는..

79.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❺ 숫자에서 시작된 UX 리디자인

이전 글들에서 퍼널 분석, 단계별 UX 설계, CTA 전략 등을 다뤘다면 이제는 실무에서 진짜로 퍼널 기반으로 UX를 어떻게 바꾸고 전환을 끌어냈는지 사례를 통해 정리해보자. 퍼널 기반 UX 리디자인은 단순히 화면을 예쁘게 바꾸는 게 아니다.사용자 흐름을 수치로 확인하고, 전략적으로 행동을 유도하는 설계의 결과다. 사례1. 가입 전 이탈율이 높던 SaaS 서비스 문제 상황랜딩 → 가입 클릭까지 전환율 60%가입 클릭 → 가입 완료 전환율 25%가입 도중 이탈 원인 불명UX 개선 포인트필수 입력값 축소: 이메일/비밀번호만 우선‘가입 완료 후 추가 정보 입력 가능’ 문구 추가소셜 간편가입 버튼 상단 배치가입 중 로딩 시간 개선개선 후가입 완료율 25% → 44% 상승가입 중 이탈율 절반 이하로 감소요약퍼널..

78.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❹ 전환 흐름, 이제는 데이터로 말할 때

좋은 UX 설계는 감이 아니라 근거에서 나온다. 아무리 화면을 잘 구성해도, 실제 사용자 흐름이 전환되지 않는다면 그 퍼널은 실패한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기획자와 PM이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퍼널 분석 지표와 해석 방법, 그리고 UX 개선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인사이트 도출 포인트를 정리한다. 퍼널 분석이란? 퍼널 분석은 사용자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사용자 수의 변화(이탈/전환)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주로 다음과 같은 흐름을 기준으로 분석한다:서비스 진입탐색특정 기능 사용CTA 클릭전환 완료이때 단계별 전환율과 이탈율을 정량적으로 파악해 문제가 발생하는 구간을 찾아내는 것이 목적이다. 퍼널 분석에서 자주 쓰는 핵심 지표지표설명실무활용전환율 (Conversion Rate)특정 단계 →..

77.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❸ 전환, 버튼 하나로 달라진다

사용자 행동은 단순히 ‘좋은 기능’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 어떻게 유도되느냐가 중요하다. UX 기획자가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민해야 할 3가지 요소 : CTA(Call To Action) 문구, 노출 타이밍, 배치 위치 / 이번 글에서는 전환 퍼널에서 UI 요소가 사용자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설계해야 전환으로 연결되는지 전략적으로 정리해본다. 1. CTA 문구 – 말 한 줄이 클릭을 결정한다 CTA(Call To Action)는 행동 유도 문구다. 버튼에 들어가는 짧은 문장이지만, 사용자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좋은 CTA 문구의 특징명확한 동작 안내 (예: “무료 체험 시작하기”)클릭 후의 결과가 예측 가능부담을 줄이는 표현 (..

76.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❷ 가입부터 전환까지, 흐름을 만드는 기획

UX 설계는 단순히 ‘예쁘게 보이는 화면’을 만드는 게 아니다.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에서 가입 → 탐색 → 행동 → 전환 까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흐름을 기획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글에서는 퍼널 흐름을 3단계로 나눠, 각 단계에서 UX 기획자가 고려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한다. 1단계 : 가입(Entry) – 진입 장벽을 낮춰라 가입 단계는 서비스 진입의 첫 관문이다. 이탈이 가장 많은 구간 중 하나이기 때문에, UX 설계에서 장벽을 낮추고, 흐름을 단순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UX 전략 예시소셜 로그인 도입 (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가입 → 바로 체험’ 흐름 설계선택 입력 최소화, 필수 입력만 우선 받기“가입 후에도 수정 가능해요” 식 문구로 부담감 완화가입 중 이탈 방지용 저장 기능 o..

75.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❶ 사용자 전환 퍼널 이해하기

많은 서비스에서 “가입은 많은데 전환이 안 돼요.” 혹은 “광고 클릭은 잘 되는데 구매까지 연결되지 않아요.”이런 문제의 원인을 UX 기획자가 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 그게 바로 퍼널(Funnel)이다. 이번 글에서는 퍼널의 개념과 UX 설계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전환 흐름을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지 정리해본다. 퍼널(Funnel)이란? 퍼널은 사용자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어느 지점에서 이탈이 발생하고 어디서 전환이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는 구조다. 예시 퍼널 흐름서비스 진입 (방문자)탐색 (페이지 탐색, 정보 조회)행동 유도 (회원가입, 장바구니 담기)전환 (결제, 구독, 예약 등)각 단계마다 사용자 수가 점점 줄어들고, 이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점을 전환 저해 구간..

74. UX Writing 시리즈 ❺ 실무에서 자주 쓰는 UX 문구 & 패턴 모음

UX Writing은 결국 실무에서 ‘어떤 문장을 어디에 써야 하는가’가 핵심이다. 이번 편에서는 실제 서비스 기획/설계 시 자주 사용하는 UX 문구들을 기능별로 정리해서 바로 참고할 수 있는 패턴 모음집으로 정리해본다. 버튼(Call to Action) 문구 패턴지금 시작하기무료로 체험해보기내 정보 입력다음 단계로 이동팀원 초대하기작업 계속하기변경 내용 저장초안 저장하기제출하기기획 포인트버튼에는 사용자가 ‘무엇을 하게 될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문장이 들어가야 한다.가능하면 동사 + 기대 결과 조합으로 구성에러 메시지 패턴입력하신 이메일 주소가 맞지 않아요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해요.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아요해당 항목을 찾을 수 없습니다오류가 발생했어요. 다시 시도해볼까요?기획 ..

73. UX Writing 시리즈 ❹ 안내 문구 & Empty 상태 설계법

UX Writing에서 가장 ‘눈에 띄지 않지만,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요소가 있다. 바로 안내 문구와 Empty 상태 문구(데이터 없음 상태의 메시지)다. 이 문구들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사용자 흐름이 끊기고 화면이 허전해 보인다.서비스 사용 이유를 잃게 된다.이번 글에서는 사용자의 흐름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안내 문구와 첫 화면, 빈 상태에서 유저를 ‘행동하게 만드는 Empty 상태 문구’ 설계법을 정리해본다. 안내 문구의 역할안내 문구는 사용자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왜 기다려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문장이다. 예시 역할처리 중 안내다음 단계 설명상태 표시 (로딩 중, 저장 완료 등)사용자 행동 이후의 피드백좋은 안내 문구의 조건현재 상태를 명확히 전달다음 행동을 예..

72. UX Writing 시리즈 ❸ 유도 문구(Call to Action) 설계의 심리학

버튼 하나, 링크 한 줄, 짧은 문장 하나. 하지만 이 문구 하나가 사용자 행동을 이끌어낸다. Call to Action(CTA) 문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음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글이다. 이번 글에서는 UX Writing 관점에서 CTA 문구를 어떻게 설계해야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지, 기획자 관점에서 실무 적용 가능한 전략들을 정리해본다.CTA 문구의 역할은 행동 유도Call to Action은 말 그대로 “사용자에게 행동을 요청하는 문구”다.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등장한다 가입/로그인 유도결제/구독 유도다음 단계로 이동정보 입력 유도기능 사용 유도즉, 서비스 흐름의 핵심 전환 지점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다.CTA 문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3가지구체적인 행동이 드러나야 한다“..

71. UX Writing 시리즈 ❷ 에러 메시지 잘 쓰는 법, 위기 상황을 기회로 바꾸는 문구 설계

에러 메시지는 대부분 사용자가 ‘짜증’을 느끼는 지점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서비스는 더 신중하고 정중해야 한다.에러 메시지 하나로 이탈이 줄어들 수도 있고, 브랜드 신뢰가 올라갈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UX 기획자 입장에서 에러 메시지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지,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리해본다.에러 메시지의 역할에러 메시지는 단순한 시스템 알림이 아니다.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사용자의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해준다불쾌함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한다사용자가 다시 시도하거나 포기하지 않도록 안내한다UX 기획자가 에러 메시지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확하게 말할 것“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서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