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자일 7

85. 애자일 회고(Retrospective) 제대로 하는 법

애자일 스프린트를 마무리하면 항상 따라오는 시간, 바로 회고(Retrospective)다. 하지만 실무에서는 이런 반응이 많다.“그냥 다들 조용히 앉아만 있어요…”“칭찬만 하다가 끝나요.”“문제는 뻔한데, 해결은 늘 다음에.” 회고는 단순한 피드백 시간이 아니라, 팀이 성장하는 구조를 설계하는 핵심 루틴이다. 이번 글에서는 애자일 회고의 개념, 목적, 잘하는 방법, 실무 팁까지 모두 정리해본다. 1. 회고란 무엇인가?회고(Retrospective)는 하나의 스프린트(반복 주기)가 끝난 후 “무엇이 잘 되었고, 무엇을 개선할 수 있는가”를 팀이 함께 돌아보는 시간이다.회고 = 정답을 찾는 시간이 아니라,다음 스프린트를 더 잘하기 위한 설계 시간이다. 2. 회고의 핵심 목적목적설명팀 내 정서 확인일정·협업..

84. 애자일 팀에서 기획자/PM의 역할 정리

“애자일 팀에서 기획자는 뭘 해야 하죠?”“PM은 PO랑 같은 건가요?”“매일 데일리 미팅만 하다 끝나는 거 같아요…” 애자일 방식이 확산되면서 기획자·PM의 역할에 대한 혼란도 많아졌다. 이번 글에서는 애자일 환경에서 기획자(UX 기획자/서비스 기획자), PM(Product Manager)의 핵심 역할과 마인드셋을 정리해본다. 1. 애자일 팀에서의 기본 구조애자일 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로 구성된다. PO (Product Owner): 제품 방향과 우선순위 책임디자이너 / 개발자: 실제 제품을 만드는 팀원기획자 / PM: 흐름과 요구사항 정의 + 협업 조율현실에서는 기획자 + PM = PO 역할 일부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2.  기획자(UX/서비스 기획)의 역할 사용자 중심의 흐름 설계사용자..

83. 스크럼 vs 칸반 vs 워터폴, 차이 정리

“우리 팀은 애자일이에요.”“우린 워터폴 방식인데… 애자일이 더 나은 거 아닌가요?”“스크럼? 칸반? 다 비슷한 거 아니야?” 실무에서 이런 질문 자주 듣는다. 그만큼 스크럼, 칸반, 워터폴은 헷갈리기 쉽고,잘 구분해두면 팀과 업무 방식 이해도가 확 올라간다. 이번 글에서는 PM·기획자가 알아야 할 3가지 대표 개발 방식의 구조, 특징, 장단점을 비교해서 정리해본다. 1. 워터폴(Waterfall) – 순차적, 계획 중심 방식 기획자·디자이너·개발자가 하나의 팀으로 묶여 2~4주 단위로 목표 기능을 완성하는 방식 → “스프린트”라는 반복 주기 중심으로 일함.특징설명반복 개발정해진 기간(스프린트)마다 결과물 도출고정된 팀 구성PO, 개발자, 디자이너가 한 팀정해진 미팅데일리 스탠드업, 회고, 스프린트 리뷰..

82. 애자일이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우리 팀은 애자일로 일해요.”“이번 프로젝트는 스크럼 방식이에요.”“애자일인데 왜 일정이 이렇게 빡세요?” 실무에서 ‘애자일’이라는 말은 많이 쓰이지만, 정작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오늘은 실무자, 특히 기획자·PM 관점에서 애자일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자주 생기는 오해와 현실 적용 시 유의할 점을 정리해본다. 1. 애자일이란?Agile(애자일)은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개발 방식이다.2001년 ‘애자일 선언(Agile Manifesto)’을 통해 정립되었고, 기존의 워터폴(순차적 개발) 방식과는 다르게 짧은 주기로 반복하며 빠르게 피드백하고 개선하는 구조다. 2. 애자일의 4가지 핵심 가치핵심가치설명개인과 상호작용도구보다 사..

50.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 회고 : 팀의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진행 방법

[회고]는 정말 중요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번 스프린트에서 무엇이 잘 됐고,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잘한 점, 아쉬운 점”을 나열하는 것으로는 팀의 성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효과적인 레트로스펙티브(회고)를 진행하는 방법을 알면, 팀의 협업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글에서는 레트로스펙티브 회고의 개념과 성공적인 진행 방법,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까지 정리해보겠다.1.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란?레트로스펙티브는 애자일(Agile) 팀이 스프린트(개발 주기)나 프로젝트가 끝난 후 진행하는 회고 미팅이다. 팀이 잘한 점과 개선할 점을 논의하고, 다음 프로젝트에 반영할 액션 아이템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목적 : 프로젝트에..

47. 애자일(Agile)이란? 빠르고 유연한 개발을 위한 핵심 개념과 실무 적용 방법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가 함께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그 해답이 바로 애자일(Agile) 방법론이다. 애자일은 단순한 개발 방법론이 아니라, 조직과 팀이 민첩하게 움직이며 빠르게 가치를 전달하는 철학이다. 이 글에서는 애자일의 개념, 핵심 원칙, 실무 적용 방법을 알아보고, 왜 많은 기업이 애자일을 도입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애자일(Agile)이란?애자일(Agile)은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으로,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법론이다. 애자일의 핵심 개념계획보다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문서보다 실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계약보다 고객과의 협력프로세스보다 팀워크와 커뮤니케이션애자..

44. 효율적인 협업 방법과 분쟁 해결 전략: 성공적인 팀워크를 위한 가이드

1. 효율적인 협업을 위한 핵심 전략 1) 명확한 목표 설정과 역할 분담 팀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통의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다. 목표가 명확해야 각자의 역할과 책임이 분명해지고, 업무 혼선을 줄일 수 있다. 실천 방법모든 프로젝트 시작 전에 OKR(Objective & Key Results) 또는 SMART 목표를 수립한다.회의 후 결정된 사항과 담당자를 문서화하고 공유한다.Tip : 노션(Notion)이나 컨플루언스(Confluence) 같은 문서화 툴을 활용하면, 회의록이나 주요 결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2)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 도입 협업에서 가장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이 바로 커뮤니케이션 오류다. 같은 목표를 바라보더라도, 서로의 기대치가 다르거나 정보 전달이 명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