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3

53. SNS 간편 로그인, 정말 간편할까? 회원가입 프로세스의 핵심 개념 정리

지금 나는 회원가입/로그인 체계를 설계 중이다. 사용자로서, 혹은 기획자로서 한 번쯤 이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사이트에 진입한다.로그인 화면 하단에 ‘SNS 간편 로그인’ 버튼이 보인다.‘간편’이라는 단어에 이끌려 버튼을 클릭한다.그런데 예상과 달리 ‘회원가입 페이지’가 등장한다.결국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고, 결국 로그인보다는 회원가입에 가깝다.많은 사람들이 SNS 간편 로그인(Social Login)을 ‘로그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회원가입 과정의 일부다. 그렇다면, SNS 간편 로그인은 왜 로그인이라고 불리면서도 회원가입 과정이 필요한 걸까? 그리고 기획자들은 어떻게 SNS 간편 로그인 프로세스를 설계해야 할까? 오늘은 SNS 간편 로그인 방식으로 회원가입이 진행되는 프로세스와 UX 관점..

52. 연차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실력을 쌓아라

UX 디자이너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어느덧 시니어가 된 지금, 가끔 이런 질문을 받는다. “어떻게 하면 시니어 UX 디자이너가 될 수 있을까요?”“연차가 쌓이면 시니어가 되는 건가요?” 나는 주니어에서 시니어로 넘어가는 순간을 특별히 의식하지 못했다. 그저 UX를 더 잘하고 싶었고, 계속 배우다 보니 자연스럽게 시니어가 되어 있었다. UX 디자인은 빠르게 변하는 분야고, 단순히 연차를 채운다고 실력이 쌓이는 게 아니다. 시니어가 된다는 건 더 깊은 사고, 더 넓은 시야, 더 효과적인 협업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과정이다. 이 글에서는 UX 주니어가 시니어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것들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지금 주니어라면, 혹은 시니어로 성장하고 싶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란다. 1...

51. PM이 알아야 할 기본 엑셀 함수 : 데이터 분석 & 업무 자동화를 위한 필수 함수 정리

PM(프로덕트 매니저)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의 전환율이 얼마나 높을까?, 사용자 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이런 질문에 답하려면 엑셀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능력이 필수다. 하지만 엑셀을 마스터할 필요는 없다. PM이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핵심 함수만 익혀도 업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글에서는 PM이 꼭 알아야 할 엑셀 함수와 실무 활용법을 정리해보겠다.1. PM이 엑셀을 잘 다루면 좋은 이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가능 사용자 지표 분석 (전환율, 이탈률, 성장률 등) 매출, 트래픽, 성과 데이터 정리 & 시각화 보고서 & 대시보드 자동화 주간/월간 리포트 자동 계산 데이터 정리 & 인사이트 도출 팀 내..

50.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 회고 : 팀의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진행 방법

[회고]는 정말 중요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이번 스프린트에서 무엇이 잘 됐고, 무엇을 개선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단순히 “잘한 점, 아쉬운 점”을 나열하는 것으로는 팀의 성장을 이끌어내기 어렵다. 효과적인 레트로스펙티브(회고)를 진행하는 방법을 알면, 팀의 협업과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글에서는 레트로스펙티브 회고의 개념과 성공적인 진행 방법,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까지 정리해보겠다.1.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란?레트로스펙티브는 애자일(Agile) 팀이 스프린트(개발 주기)나 프로젝트가 끝난 후 진행하는 회고 미팅이다. 팀이 잘한 점과 개선할 점을 논의하고, 다음 프로젝트에 반영할 액션 아이템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목적 : 프로젝트에..

49. BM(비즈니스 모델) 찾기 : PM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는 방법

저 뿐만이 아닌, 많은 PM들이 제품을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이 서비스로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을 만들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하는 고민을 한다. 특히, 모빌리티 서비스와 같이 플랫폼 비즈니스에서는 BM(비즈니스 모델) 설계가 더욱 중요하다.“고객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하고, 이를 어떻게 수익으로 연결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제가 고민하고 고민하는 중인 BM을 찾는 과정과 모빌리티 서비스를 예시로 수익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1. BM이 왜 중요한가?비즈니스 모델(BM, Business Model)은 기업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며, 수익을 얻는지에 대한 설계도다.PM 입장에서 BM이 중요한 이유는 단순히 수익을 내는 것을 넘어서, 지..

48. Notion 활용법 : 업무, 프로젝트, 개인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디지털 시대에 효율적인 업무 관리와 생산성을 높이는 도구가 필수적이다. 그중에서도 Notion(노션)은 강력한 생산성 툴로 각광받고 있다. Notion은 단순한 메모 앱이 아니라, 문서 관리,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베이스, 협업 도구까지 결합한 올인원(all-in-one) 툴이다.이 글에서는 Notion의 개념부터 실무에서 활용하는 방법까지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활용법을 정리했다 1. Notion이란?Notion은 메모, 데이터베이스, 협업 기능을 통합한 생산성 도구다. 간단한 노트 작성부터 프로젝트 관리, 일정 관리, 팀 협업까지 모든 것을 한곳에서 할 수 있다. 1) Notion의 주요 기능문서 작성 & 메모 – 간단한 노트부터 보고서, 기획 문서까지 작성 가능데이터베이스 관리 – To-Do 리스..

47. 애자일(Agile)이란? 빠르고 유연한 개발을 위한 핵심 개념과 실무 적용 방법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기획자, 개발자, 디자이너가 함께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그 해답이 바로 애자일(Agile) 방법론이다. 애자일은 단순한 개발 방법론이 아니라, 조직과 팀이 민첩하게 움직이며 빠르게 가치를 전달하는 철학이다. 이 글에서는 애자일의 개념, 핵심 원칙, 실무 적용 방법을 알아보고, 왜 많은 기업이 애자일을 도입하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애자일(Agile)이란?애자일(Agile)은 **“민첩한, 기민한”**이라는 뜻으로, 소프트웨어 개발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하는 방법론이다. 애자일의 핵심 개념계획보다 변화에 유연하게 적응문서보다 실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계약보다 고객과의 협력프로세스보다 팀워크와 커뮤니케이션애자..

46. PM(프로덕트 매니저)이 되기 위한 로드맵 : 필수 역량과 커리어 성장 가이드

1. PM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PM의 역할은 제품(서비스)의 목표를 설정하고, 개발팀, 디자인팀, 마케팅팀 등 다양한 부서와 협업하여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PM의 주요 업무시장 조사 & 사용자 리서치: 고객의 문제를 파악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기획제품 기획 & 로드맵 관리: 제품의 방향성과 목표 설정개발팀 & 디자인팀 협업: 요구사항 정의, 일정 조율, 우선순위 설정데이터 분석 & 성과 측정: A/B 테스트, KPI 분석을 통해 제품 개선비즈니스 전략 & 의사 결정: 수익 모델 설정, 마케팅 & 운영 전략 기획PM은 비즈니스, 기술, UX/UI, 데이터 분석 역량이 조화롭게 요구되는 직무다. 2. PM이 되기 위한 로드맵 (단계별 가이드)1단계: PM 직무 이해 & 기본 역량 다지기해야 ..

45. OKR과 SMART 목표 : 목표 설정의 핵심 전략

기업이나 개인이 성장하려면 명확한 목표 설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목표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목표를 어떻게 관리하고 실행할 것인지까지 체계적으로 설계해야 한다. 대표적인 목표 설정 방법으로는 OKR(Objective & Key Results)과 SMART 목표가 있다. 이 글에서는 두 개념의 차이점과 활용법을 정리하고,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1. OKR(Objective & Key Results)란? OKR의 정의 OKR은 Objective(목표)와 Key Results(핵심 결과 지표)의 약자로, 구글(Google)을 비롯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사용하는 목표 설정 방법이다.Objective(목표): 이루고자 하는 방향과 비전을 나타내는 정성적 목표Key Results..

44. 효율적인 협업 방법과 분쟁 해결 전략: 성공적인 팀워크를 위한 가이드

1. 효율적인 협업을 위한 핵심 전략 1) 명확한 목표 설정과 역할 분담 팀워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통의 목표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다. 목표가 명확해야 각자의 역할과 책임이 분명해지고, 업무 혼선을 줄일 수 있다. 실천 방법모든 프로젝트 시작 전에 OKR(Objective & Key Results) 또는 SMART 목표를 수립한다.회의 후 결정된 사항과 담당자를 문서화하고 공유한다.Tip : 노션(Notion)이나 컨플루언스(Confluence) 같은 문서화 툴을 활용하면, 회의록이나 주요 결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다.2)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 도입 협업에서 가장 많은 문제가 발생하는 지점이 바로 커뮤니케이션 오류다. 같은 목표를 바라보더라도, 서로의 기대치가 다르거나 정보 전달이 명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