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4

64. 기획자가 챗봇을 기획한다면? ChatGPT와 함께하는 챗봇 기획 & 설계 가이드

챗봇(Chatbot)은 이제 단순한 FAQ 답변을 넘어서, AI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다.기업 고객센터, 이커머스, 핀테크, 모빌리티 서비스 등에서 챗봇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음ChatGPT 같은 생성형 AI를 활용하면 더 자연스럽고 똑똑한 챗봇을 만들 수 있음하지만 기획자가 챗봇을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오히려 사용자 경험(UX)이 나빠질 수도 있음요즘 나는 서비스 기획을 하면서 자체적으로 챗봇을 기용하고 싶었다. 그렇다면 기획자가 챗봇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고, 실행은 못했지만 이 글에서는 챗봇 기획 및 설계 방법, 그리고 ChatGPT를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1. 챗봇을 기획하는 이유: 왜 챗봇이 필요한가?기획자가 챗봇을 기획할 때 가장 먼..

63. PM을 위한 리뷰 스킬(효과적으로 피드백하고 성장하는 리뷰 문화 만들기

PM(Product Manager, 프로젝트 매니저)는 회사에서 수많은 리뷰를 진행해야 한다.디자인 리뷰, 기획 리뷰, 개발 리뷰, 사용자 피드백 리뷰까지, 잘못된 리뷰 방식은 팀의 사기를 떨어뜨리고, 효과적인 리뷰 방식은 팀을 성장시키는 강력한 도구가 된다. 그렇다면 PM은 어떻게 리뷰를 잘할 수 있을까? 내가 매번 고민하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오늘 준비한 내용은, PM이 실무에서 리뷰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겠다.  1. 리뷰의 목적: 단순한 평가가 아닌 성장의 기회많은 PM들이 리뷰를 할 때 잘못된 방식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다.“이거 잘못됐어.” → 문제만 지적하고 해결책이 없음“이전 버전보다 별로야.” → 구체적인 개선 방향이 없음“그냥 다시 해봐.” → 피드백이 명확하지 않음리뷰의..

62. 다크 모드 UI 디자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

최근 많은 앱과 웹사이트에서 다크 모드(Dark Mode)를 지원하고 있다.유튜브, 트위터(X),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iOS & 안드로이드 기본 UI까지…사용자들은 다크 모드를 선호하며, 점점 더 많은 서비스에서 기본 제공하는 기능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UX/UI 기획자는 다크 모드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다크 모드가 주는 이점과 단점, 그리고 내가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UX/UI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다크 모드란? 다크 모드(Dark Mode)란?배경을 어둡게 하고 텍스트나 UI 요소를 밝게 표현하는 UI 모드일반적인 라이트 모드(Light Mode)와 대비되는 화면 스타일OLED 및 AMOLED 디스플레이에서 배터리 절약 효과를 가짐 다크 모드가 인기 있는 이유?눈의 피로를 줄임 ..

61. 앱(App) vs. 웹(Web) 환경의 차이

앱(App)과 웹(Web)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사용자 경험(UX)과 기술적인 차이가 크다. 어떤 서비스는 앱이 유리하고, 어떤 서비스는 웹이 더 효율적이다. 그렇다면 UX 기획자는 앱과 웹 환경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앱과 웹의 핵심 차이점과 UX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웹 기반 서비스 운영자, 모바일 앱 기획자, 개발팀과 협업하는 UX 기획자나 디자이너에게 유용한 가이드가 되었음 한다.  1. 앱과 웹의 기본 개념1) 앱(App) – 모바일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환경모바일 OS(안드로이드, iOS)에 설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스마트폰 성능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음 (GPS, 카메라, 푸시 알림 등)네이티브 앱(Native App), 하이브리드 앱(H..

60. 데이터 분석

UX 기획자가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개념과 방법을 정리해본다. 데이터를 활용해 기획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데이터 분석은 더 이상 데이터 전문가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만의 일이 아니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도 데이터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 Making)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1. UX 기획에서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과거 UX 기획은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기반 UX 기획의 장점 사용자 행동을..

카테고리 없음 2025.03.16

59. 핀테크 결제 UX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결제 설계 방법

핀테크(FinTech, 금융+기술) 시장이 성장하면서, 결제 UX가 비즈니스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용자는 빠르고 안전한 결제 경험을 원하고, 서비스 제공자는 결제 전환율(Conversion Rate)과 사용자 경험(UX) 최적화를 목표로 한다. 그렇다면 핀테크 결제 UX는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고민이었다. 그래서 오늘은 결제 흐름을 최적화하는 UX 전략과 최신 핀테크 결제 방식(정기 구독, BNPL 등)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핀테크 결제 UX가 중요한 이유 결제 UX는 사용자 경험에서 가장 중요한 터치포인트 중 하나다.결제 과정이 번거롭다면? → 이탈률 증가!결제 보안이 약하면? → 사용자 신뢰 하락!결제 속도가 빠르고 간편하다면? → 전환율 상승 & 사용자 만족도 증가! 결제 U..

58. 광고 수익형 UX 기획,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는 광고 모델 만들기

광고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사용자 경험(UX)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많은 서비스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지만, 잘못된 광고 배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이탈률을 높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광고 수익과 UX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PM를 하면서 상품이 시장이 나가기 전에 기본적인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사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이 있다면, 내가 도움되었던 원칙? 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광고 수익형 UX 기획이 중요한 이유 많은 서비스가 광고(Ad)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가 사용자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과도하게 노출되면, 오히려 서비스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잘..

57. UX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과 활용법

데이터 분석은 더 이상 데이터 전문가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만의 일이 아니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도 데이터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사용자 행동을 이해하고,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Data-driven Decision Making)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개념과 방법을 정리해본다. 데이터를 활용해 기획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 UX 기획에서 데이터 분석이 중요한 이유과거 UX 기획은 직관과 경험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제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기반 UX 기획의 장점 ..

56.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의 PG사 개념과 운영 방식

최근 온라인 결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PG사(Payment Gateway, 결제 대행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는 자체적으로 PG 시스템을 운영하며, 결제 경험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각 간편결제 서비스가 PG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기존 PG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정리해본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 혹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다시 PG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1. PG사(Payment Gateway)란?PG사는 온라인 결제에서 카드사, 은행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결제 대행사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KG이니시스, KCP, NICE페이 같은 전통적인 PG사를..

55. 토스 위젯, PG사, 결제 로직 심화 분석

이전 글에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의 UX 로직을 다뤘다. 하지만 요즘 간편결제는 더 발전하고 있다.토스(Toss)처럼 위젯을 제공하는 결제 서비스도 있고, 결제 프로세스의 핵심 역할을 하는 PG(Payment Gateway)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간편결제 서비스를 설계할 때 반드시 이해해야 할 개념들을 더 깊이 다뤄보겠다. 1. 토스(Toss) 위젯 결제: 간편결제의 또 다른 방식https://pay.toss.im/토스는 단순한 금융 앱을 넘어, 간편결제 UX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킨 서비스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처럼 결제 수단으로 연동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위젯 기반 결제’라는 새로운 흐름을 만들고 있다. 토스 결제 UX 특징위젯 방식 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