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7

77.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❸ 전환, 버튼 하나로 달라진다

사용자 행동은 단순히 ‘좋은 기능’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 기능으로 언제, 어디서, 어떻게 유도되느냐가 중요하다. UX 기획자가 전환율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고민해야 할 3가지 요소 : CTA(Call To Action) 문구, 노출 타이밍, 배치 위치 / 이번 글에서는 전환 퍼널에서 UI 요소가 사용자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설계해야 전환으로 연결되는지 전략적으로 정리해본다. 1. CTA 문구 – 말 한 줄이 클릭을 결정한다 CTA(Call To Action)는 행동 유도 문구다. 버튼에 들어가는 짧은 문장이지만, 사용자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좋은 CTA 문구의 특징명확한 동작 안내 (예: “무료 체험 시작하기”)클릭 후의 결과가 예측 가능부담을 줄이는 표현 (..

76.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❷ 가입부터 전환까지, 흐름을 만드는 기획

UX 설계는 단순히 ‘예쁘게 보이는 화면’을 만드는 게 아니다.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에서 가입 → 탐색 → 행동 → 전환 까지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흐름을 기획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번 글에서는 퍼널 흐름을 3단계로 나눠, 각 단계에서 UX 기획자가 고려해야 할 포인트를 정리한다. 1단계 : 가입(Entry) – 진입 장벽을 낮춰라 가입 단계는 서비스 진입의 첫 관문이다. 이탈이 가장 많은 구간 중 하나이기 때문에, UX 설계에서 장벽을 낮추고, 흐름을 단순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UX 전략 예시소셜 로그인 도입 (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가입 → 바로 체험’ 흐름 설계선택 입력 최소화, 필수 입력만 우선 받기“가입 후에도 수정 가능해요” 식 문구로 부담감 완화가입 중 이탈 방지용 저장 기능 o..

75. 사용자 전환 경로 UX 시리즈 ❶ 사용자 전환 퍼널 이해하기

많은 서비스에서 “가입은 많은데 전환이 안 돼요.” 혹은 “광고 클릭은 잘 되는데 구매까지 연결되지 않아요.”이런 문제의 원인을 UX 기획자가 구조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 그게 바로 퍼널(Funnel)이다. 이번 글에서는 퍼널의 개념과 UX 설계에서 왜 중요한지, 그리고 실무에서 어떻게 전환 흐름을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지 정리해본다. 퍼널(Funnel)이란? 퍼널은 사용자 여정을 단계별로 나누어, 어느 지점에서 이탈이 발생하고 어디서 전환이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는 구조다. 예시 퍼널 흐름서비스 진입 (방문자)탐색 (페이지 탐색, 정보 조회)행동 유도 (회원가입, 장바구니 담기)전환 (결제, 구독, 예약 등)각 단계마다 사용자 수가 점점 줄어들고, 이탈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점을 전환 저해 구간..

74. UX Writing 시리즈 ❺ 실무에서 자주 쓰는 UX 문구 & 패턴 모음

UX Writing은 결국 실무에서 ‘어떤 문장을 어디에 써야 하는가’가 핵심이다. 이번 편에서는 실제 서비스 기획/설계 시 자주 사용하는 UX 문구들을 기능별로 정리해서 바로 참고할 수 있는 패턴 모음집으로 정리해본다. 버튼(Call to Action) 문구 패턴지금 시작하기무료로 체험해보기내 정보 입력다음 단계로 이동팀원 초대하기작업 계속하기변경 내용 저장초안 저장하기제출하기기획 포인트버튼에는 사용자가 ‘무엇을 하게 될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문장이 들어가야 한다.가능하면 동사 + 기대 결과 조합으로 구성에러 메시지 패턴입력하신 이메일 주소가 맞지 않아요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해요.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아요해당 항목을 찾을 수 없습니다오류가 발생했어요. 다시 시도해볼까요?기획 ..

73. UX Writing 시리즈 ❹ 안내 문구 & Empty 상태 설계법

UX Writing에서 가장 ‘눈에 띄지 않지만, 사용자 경험을 크게 좌우하는’ 요소가 있다. 바로 안내 문구와 Empty 상태 문구(데이터 없음 상태의 메시지)다. 이 문구들이 제대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사용자 흐름이 끊기고 화면이 허전해 보인다.서비스 사용 이유를 잃게 된다.이번 글에서는 사용자의 흐름을 매끄럽게 이어주는 안내 문구와 첫 화면, 빈 상태에서 유저를 ‘행동하게 만드는 Empty 상태 문구’ 설계법을 정리해본다. 안내 문구의 역할안내 문구는 사용자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왜 기다려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문장이다. 예시 역할처리 중 안내다음 단계 설명상태 표시 (로딩 중, 저장 완료 등)사용자 행동 이후의 피드백좋은 안내 문구의 조건현재 상태를 명확히 전달다음 행동을 예..

72. UX Writing 시리즈 ❸ 유도 문구(Call to Action) 설계의 심리학

버튼 하나, 링크 한 줄, 짧은 문장 하나. 하지만 이 문구 하나가 사용자 행동을 이끌어낸다. Call to Action(CTA) 문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다음 행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글이다. 이번 글에서는 UX Writing 관점에서 CTA 문구를 어떻게 설계해야 전환율을 높일 수 있는지, 기획자 관점에서 실무 적용 가능한 전략들을 정리해본다.CTA 문구의 역할은 행동 유도Call to Action은 말 그대로 “사용자에게 행동을 요청하는 문구”다.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등장한다 가입/로그인 유도결제/구독 유도다음 단계로 이동정보 입력 유도기능 사용 유도즉, 서비스 흐름의 핵심 전환 지점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다.CTA 문구 설계 시 고려해야 할 3가지구체적인 행동이 드러나야 한다“..

71. UX Writing 시리즈 ❷ 에러 메시지 잘 쓰는 법, 위기 상황을 기회로 바꾸는 문구 설계

에러 메시지는 대부분 사용자가 ‘짜증’을 느끼는 지점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이럴 때일수록 서비스는 더 신중하고 정중해야 한다.에러 메시지 하나로 이탈이 줄어들 수도 있고, 브랜드 신뢰가 올라갈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UX 기획자 입장에서 에러 메시지를 어떻게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을지, 실무적인 관점에서 정리해본다.에러 메시지의 역할에러 메시지는 단순한 시스템 알림이 아니다.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사용자의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문제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설명해준다불쾌함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한다사용자가 다시 시도하거나 포기하지 않도록 안내한다UX 기획자가 에러 메시지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명확하게 말할 것“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서버 ..

70. UX Writing 시리즈 ❶ UX Writing이란? 실무자용 문구 설계 전략

UX 기획을 하다 보면 종종 놓치게 되는 게 있다. 바로 ‘문구’다.버튼, 안내 문구, 에러 메시지, 알림 문구까지. 이건 디자이너가 쓰는 것도 아니고, 개발자가 자동으로 넣어주는 것도 아니다.기획자(또는 UX Writer)가 ‘목적 있는 말’을 써야 하는 영역이다. 이번 글에서는 UX Writing의 개념과 실무에서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요소를 정리한다. UX Writing이란?UX Writing은 사용자 경험(UX)을 높이기 위한 모든 텍스트 설계 활동을 말한다.단순히 문장을 잘 쓰는 것이 아니라,사용자의 행동을 유도하거나 이해를 돕고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어준다. 실수를 줄이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왜 중요할까?텍스트 하나로 사용자의 감정은 완전히 달라진다. 예시 1) “오류 발생”..

69. SaaS UX 기획 시리즈 ❺ : SaaS 수익, 결국 유료 전환 UX에 달렸다!

SaaS 서비스의 수익 구조는 명확하다.유입 → 사용 → 유료 전환그 중에서도 기획자가 가장 고민하는 건 ‘무료에서 유료로 어떻게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할 것인가?’ 이 글에서는 SaaS 유료 전환을 높이는 UX 흐름 설계 전략을 실무 기준으로 정리해본다. ‘과금 버튼’ 하나 잘 배치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 행동과 흐름 중심으로 설계하는 게 핵심이다. 유료 전환 UX의 핵심 : 타이밍, 맥락, 필요성사용자가 유료로 전환하는 결정은 대부분 감정이 아니라 “지금 이 기능이 필요한데, 유료 플랜이어야 가능하네?” 라는 합리적인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기획자는 이를 위해 다음 3가지를 설계해야 한다.타이밍 : 전환 제안은 너무 빠르거나 늦지 않아야 한다맥락 : 현재 사용 흐름과 맞닿아 있어야 한다필요성 : 유료 플..

68. SaaS UX 기획 시리즈 ❸ Aha Moment – 이거다! 싶은 순간을 만드는 방법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지 말지를 결정짓는 순간이 있다. 바로 Aha Moment. 사용자가 “이거 되게 괜찮네”, “계속 써봐야겠다”라고 느끼는 경험의 임계점이다. 이 순간을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이탈율도, 리텐션도, 유료 전환율도 갈린다.   Aha Moment란?Aha Moment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처음으로 체감한 순간을 의미한다.즉, 이 서비스를 왜 써야 하는지 ‘몸으로’ 느끼는 경험이다. 예를 들어 : 이 모든 순간은 “이 서비스 진짜 쓸만하네”라는 판단을 유도한다Notion: 템플릿으로 문서 하나 만들고, 정리된 나만의 공간이 생겼을 때Figma: 다른 디자이너와 동시에 작업해보며 실시간 협업이 된다는 걸 느꼈을 때Slack: 채널 초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