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3

43. PM(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중요성

1. PM이란 무엇인가?PM(Product Manager, 프로덕트 매니저)은 제품의 전반적인 기획, 개발, 출시, 운영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 직군이다.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팀, 디자인팀, 마케팅팀 등 여러 팀과 협업하며 제품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PM의 핵심 역할은 다음과 같다.제품 전략 수립: 시장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제품의 목표와 방향성을 정립기획 및 설계: 사용자 경험(UX)과 기능 정의를 통해 제품 설계개발팀과 협업: 개발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지원 및 조율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품 개선 방향을 제시프로젝트 관리: 일정, 예산, 리소스 등을 관리하여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완수되도록 함2. PM의 성공을 위한 핵심 역량PM으로서..

42. UX Writer가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방법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UX Writing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UX Writer는 사용자가 제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가 UX Writing에 적극 활용되며, 생산성을 높이고 보다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X Writer가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는 주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마이크로카피(Microcopy) 자동 생성 및 최적화마이크로카피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짧은 문구입니다. 로그인 버튼, 에러 메시지, 안내 문구 등이 이에 해당하며, UX Writing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ChatGPT 활용..

41. ChatGPT를 활용한 UX 기획 자동화

UX 기획자는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하지만 반복적이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 많아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ChatGPT를 활용하여 UX 기획 워크플로우를 자동화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자가 ChatGPT를 활용하여 워크플로우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1. UX 리서치 정리 자동화UX 리서치는 UX 기획의 핵심 요소이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ChatGPT를 활용하면 빠르게 핵심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활용 예시 프롬프트 : "최근 모바일 앱 UI/UX 디자인 트렌드를 5가지로 요약해줘." C..

40. UX 기획과 UI 디자인 차이점 – 완벽 비교 가이드

1. UX 기획과 UI 디자인, 뭐가 다를까?UX와 UI라는 용어는 흔히 함께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UX 기획자와 UI 디자이너의 역할을 혼동하는데, 두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알면 실무에서도 더 효과적으로 협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X 기획과 UI 디자인의 차이점, 역할, 실무 적용 방법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2. UX 기획과 UI 디자인 개념 이해UX 기획이란? (User Experience Planning)UX(사용자 경험) 기획은 사용자가 서비스나 제품을 사용할 때 더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UX 기획자의 주요 업무사용자 리서치 (페르소나 분석, 사용자 여정 맵)서비스 기획 및 IA(정보 구조) 설계와이..

39. UX 툴 추천 및 비교 : 어떤 도구를 선택해야 할까?

요즘 부쩍 작업 툴에 대해 회사에 맞게, 또는 프로젝트에 맞게 잘 이용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어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동료들이 나의 글이 도움이 되면 좋을거 같아 UX 툴에 대해 한 번 더 심도 있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UX 툴의 중요성 UX 디자인과 기획은 단순한 화면 설계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적절한 UX 툴을 선택하면, 협업과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테스트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UX 툴은 너무 많다. Figma, Adobe XD, Sketch, Axure, Balsamiq 등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는데, 어떤 툴이 가장 적합할까? 이번 글에서는 주요 UX 툴을 비교하고, 상황별 추천까지 제공한다.  주요 UX 툴 비교UX 툴주요 기능장점단점추천 대상F..

38. 일의 감각에서 배운 UX 기획

조수용 디자이너의 저서 일의 감각은 단순한 디자인을 넘어, 일에 대한 태도와 본질을 탐구하는 책입니다. 이 책은 UX 기획자로서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과정에서도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일의 감각에서 얻은 핵심 인사이트를 UX 기획의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조수용 일의 감각 :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51361433630?fromwhere=people 일의 감각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  1. 본질을 파악하는 것이 UX 기획의 핵심이다디자인이란 단순히 예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본질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UX 기획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하는..

37. UX 디자이너 추천 책

개인적으로 조수용 디자이너를 좋아해서, 매거진 B 처음 출판할 때부터 관심이 많았습니다. 항상 나보다 더 나은 사회에 맞는 디자인을 고민하고, 디자인을 바라보는 그의 현실적인 시선이 직장인 디자이너로서 꼭 한 번은 봐야 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해요. 그의 저서 중 하나인 [디지털 디자인의 UX/UI] 는 UX/UI 디자인의 기본부터 실무까지 다루며, 디자이너들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사용자 경험(UX)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중요한 요소들을 실용적이고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설명하고 있어, UX/UI 디자인을 처음 배우는 사람뿐만 아니라 현업에서 활동 중인 디자이너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일의 감각》 이라는 책도 추천하고 싶어요. 이 책은 디..

36. API 문서 읽는 법 배우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시스템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에요. UX 기획자는 API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고, 기획서에 API 연동 정보를 포함해야 개발자와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어요.REST API & JSON: API 연동 시 필요한 데이터 포맷 이해하기REST API란?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앱, 웹)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에요.즉, 앱이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저장할 때 REST API를 이용합니다. REST API의 특징: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 프론트엔드(앱, 웹)와 백엔드(서버)가 분리되어 있음 HTTP 프로토콜 사용 : 브라우저에서..

35. 개발자 협업을 잘하기 위해 공부해야 할 내용

개발 프로세스 이해하기 (기획→개발→배포 과정)개발팀이 어떻게 일하는지를 이해하면, 기획할 때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어요. 애자일(Agile) & 스크럼(Scrum) 개념 익히기 개발팀은 보통 애자일 방식으로 일하며, 스프린트 단위(1~2주)로 작업을 진행해요. 기획이 완료되었다고 바로 개발이 시작되는 게 아니라, 개발 우선순위에 따라 배치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JIRA, Trello, Notion 등 협업 도구에서 개발 진행 과정을 관리하는 방법을 익혀두면 좋아요. 기획에서 개발로 넘어가는 과정 정리 와이어프레임(UX) → 기능 정의서(기획) → API 문서(개발) 순으로 협업이 진행돼요. 기획자가 기능 정의서를 잘 정리하면 개발자는 더 ..

34. UX 디자이너에서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

저는 UX 디자이너로 시작해 UX 기획자로 전환했고. 그 과정이 단순한 직무 변경이 아니라, 사고방식과 접근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어려운 과정이었습니다. 디자인을 넘어 서비스의 흐름과 기능을 고민해야 했고, 개발과의 협업에서 논리적인 사고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깨닫고 있어요. 저처럼 고민하는 동료들이 도움이 되었음 합니다  UX 기획자로 전환하며 마주한 고민들1) 화면 중심에서 서비스 전체 흐름을 고민해야 한다UX 디자이너로 일할 때는 사용자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주요 업무였습니다. 그러나 UX 기획자가 되면서, 단순히 개별 화면이 아니라 서비스 전반의 구조와 기능 설계를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였어요. 느낀 점 : 처음에는 디자인적인 감각이 기획에서도 강점이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