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회원가입/로그인 체계를 설계 중이다. 사용자로서, 혹은 기획자로서 한 번쯤 이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 사이트에 진입한다.
- 로그인 화면 하단에 ‘SNS 간편 로그인’ 버튼이 보인다.
- ‘간편’이라는 단어에 이끌려 버튼을 클릭한다.
- 그런데 예상과 달리 ‘회원가입 페이지’가 등장한다.
- 결국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고, 결국 로그인보다는 회원가입에 가깝다.
많은 사람들이 SNS 간편 로그인(Social Login)을 ‘로그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회원가입 과정의 일부다. 그렇다면, SNS 간편 로그인은 왜 로그인이라고 불리면서도 회원가입 과정이 필요한 걸까? 그리고 기획자들은 어떻게 SNS 간편 로그인 프로세스를 설계해야 할까?
오늘은 SNS 간편 로그인 방식으로 회원가입이 진행되는 프로세스와 UX 관점에서의 고려 사항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1. SNS 간편 로그인과 일반 로그인은 어떻게 다를까?
1) 기본 개념
- SNS 간편 로그인(Social Login)은 기존 회원가입 과정을 줄여주는 방식이다.
- 하지만 완전한 로그인 시스템은 아니고, 기본적으로는 회원가입과 로그인 과정을 간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2) 일반 로그인과 SNS 간편 로그인 비교
즉, SNS 간편 로그인은 ‘로그인’이라기보다 회원가입을 간소화하는 기능에 가깝다.
구분 | 일반 회원가입 & 로그인 | SNS 간편 로그인 |
회원가입 필요 여부 | ID/PW 직접 입력 | SNS 계정 연동(최초 1회 회원가입 필요) |
로그인 방식 | ID/PW 입력 | SNS OAuth 인증 |
개인 정보 입력 | 사용자가 직접 입력 | SNS에서 제공하는 정보 활용 |
UX 차이 | 가입 과정이 길다 | 최초 회원가입은 필요하지만, 이후 로그인은 간편 |
※ OAuth 란? “Open Authorization”의 약자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공유하지 않고도, 타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계정에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인증 프로토콜
2. SNS 간편 로그인은 왜 회원가입 과정이 필요한가?
많은 사용자들이 SNS 간편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바로 로그인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서비스에서는 회원가입 페이지를 먼저 보여준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1) SNS 계정 정보만으로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정보가 부족함
- 예를 들어, 페이스북 로그인으로 가입을 진행하면 이메일 주소가 비어있을 수도 있다.
- 서비스에서 필수로 요구하는 정보(예: 전화번호, 주소)가 SNS 제공 정보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 따라서 서비스에 필요한 추가 정보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회원가입 페이지가 등장하는 것이다.
2) SNS 계정 정보와 서비스의 회원 시스템을 연결해야 함
- SNS 로그인을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고유한 SNS ID가 발급된다.
- 하지만 동일한 사용자가 다른 SNS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중복 회원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다.
- 따라서 최초 로그인 시, 서비스 계정과 SNS 계정을 연결하는 과정(회원가입)이 필요하다.
3) 약관 동의 & 서비스 정책 적용 필요
- SNS 로그인을 이용한다고 해도, 서비스의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에 대한 동의 과정이 필요하다.
- 따라서, SNS 로그인 후에도 회원가입 페이지에서 동의 절차를 추가해야 함.
4) 로그인 방식 유지 & 추가 인증 절차 필요
- SNS 로그인을 사용해도, 추후 비밀번호 기반 로그인을 원하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 이를 대비해 추가적인 계정 설정(비밀번호 설정 등)이 필요할 수도 있음.
이러한 이유로, SNS 간편 로그인은 사실상 ‘회원가입을 간소화하는 기능 으로 설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SNS 간편 로그인 회원가입 UX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점
1) 사용자 경험을 혼란스럽게 하지 말 것
- SNS 로그인 버튼을 클릭했을 때, 로그인인지 회원가입인지 명확하게 안내해야 함
- 예: SNS 계정으로 빠르게 회원가입하세요!와 같은 안내 문구 추가
- 첫 로그인(회원가입)인지, 기존 회원 로그인인지 로직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함
2) 최소한의 추가 정보만 요구할 것
- SNS 로그인은 ‘간편’해야 한다.
- 사용자가 불필요한 정보 입력을 요구받는 순간 이탈 가능성이 높아진다.
- 필수 정보 외에는 추후 추가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3) 계정 연동 & 중복 가입 방지 로직 필요
- 동일한 사용자가 카카오로 로그인했다가, 나중에 네이버로 로그인하면 새로운 계정이 생성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 이를 위해 SNS ID 기반으로 기존 계정을 매칭하는 로직 필요
4) 로그인 이후 서비스 경험을 원활하게 연결할 것
- SNS 로그인 후 자동으로 회원가입이 완료된 것처럼 자연스러운 UX 제공
- 예: “환영합니다! 간단한 설정만 완료하면 바로 시작할 수 있어요.”
5) 로그인 & 회원가입을 명확하게 구분할 것
- SNS 로그인 후 기존 회원인지, 신규 회원인지 판별하는 과정이 필요
- “기존에 가입된 계정이 있습니다. 기존 계정과 연결하시겠습니까?” 같은 UX 제공

SNS 간편 로그인은 로그인보다는 ‘회원가입 간소화’ 기능이다
- 정리하자면, SNS 간편 로그인은 ‘간편한 회원가입’ 프로세스에 가깝다.
- UX 기획 시, 로그인과 회원가입을 명확하게 구분해야 한다.
- 사용자가 예상한 흐름과 실제 동작이 다르면 이탈률이 증가할 수 있다.
- 필수 정보만 요청하고, 나머지는 이후에 입력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다.
SNS 간편 로그인 기능을 기획할 때는, 단순히 버튼을 넣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전체의 회원가입/로그인 플로우를 고려해야 한다.
결국 중요한 것은,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면서도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다.
'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 토스 위젯, PG사, 결제 로직 심화 분석 (0) | 2025.03.11 |
---|---|
54. UX 기획자가 알아야 할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 (0) | 2025.03.10 |
52. 연차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실력을 쌓아라 (0) | 2025.03.08 |
51. PM이 알아야 할 기본 엑셀 함수 : 데이터 분석 & 업무 자동화를 위한 필수 함수 정리 (0) | 2025.03.07 |
50. 레트로스펙티브(Retrospective) 회고 : 팀의 성장을 위한 효과적인 진행 방법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