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온라인 결제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PG사(Payment Gateway, 결제 대행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는 자체적으로 PG 시스템을 운영하며, 결제 경험을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각 간편결제 서비스가 PG사를 어떻게 운영하는지, 기존 PG사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정리해본다. UX 기획자, 서비스 기획자, 혹은 온라인 결제 시스템을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내용이다.
다시 PG란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1. PG사(Payment Gateway)란?
PG사는 온라인 결제에서 카드사, 은행과 사용자를 연결하는 결제 대행사 역할을 한다. 기존에는 KG이니시스, KCP, NICE페이 같은 전통적인 PG사를 거쳐야 결제가 가능했지만,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같은 간편결제 서비스들이 자체 PG사를 운영하면서 결제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즉, PG사는 온라인 결제의 필수적인 중간 단계이며, 최근에는 간편결제 서비스들이 직접 PG사를 운영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2.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의 PG사 운영 방식 정리
서비스 | 자체 PG사 보유 여부 | 주요 특징 | 외부 PG사 연동 가능 여부 |
카카오페이 | 보유 (카카오페이 자체 PG 운영) | 자체 PG 시스템 운영, 가맹점과 직접 계약 가능 | 일부 PG사(KG이니시스 등)와 연동 가능 |
네이버페이 | 보유 (네이버파이낸셜 자체 PG 운영) | 자체 PG 시스템 중심 운영, 네이버 가맹점 필요 | 일부 PG사(KG이니시스, KCP 등)와 연동 가능 |
토스페이 | 보유 (토스페이먼츠 운영) | 자체 PG사 기반 운영, 빠른 위젯 결제 지원 | 일부 PG사(KG이니시스, KCP 등)와 연동 가능하지만 자체 PG 우선 |
3. 각 PG사의 특징과 차이점
1) 카카오페이 PG사
- 카카오페이 자체 PG 시스템 운영 → 카카오페이와 직접 계약 가능
- 카카오페이머니, 신용카드, 계좌이체 등 다양한 결제 방식 지원
- 일부 PG사(KG이니시스 등)와도 연동 가능하지만, 카카오페이 자체 PG를 통한 연동이 일반적
2) 네이버페이 PG사
- 네이버파이낸셜에서 자체 PG 시스템 운영
- 네이버페이 가맹점 등록 필요 → 네이버와 직접 계약해야 결제 가능
- 일부 PG사(KG이니시스, KCP 등)를 통해서도 연동 가능하지만, 네이버페이 자체 PG를 우선 사용
3) 토스페이 PG사 (토스페이먼츠)
- 토스페이먼츠(Toss Payments) 운영 → 자체 PG 기반 결제 처리
- 위젯 기반 결제 강점 → 사용자 경험(UX)이 최적화됨
- 일부 PG사(KG이니시스, KCP 등)와도 연동 가능하지만, 토스페이먼츠 자체 PG 우선 사용
4. UX 기획자가 PG사를 고려할 때 체크해야 할 것들
1) 서비스에서 어떤 간편결제 수단을 제공할 것인지 결정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어떤 결제 옵션을 제공할지 먼저 결정해야 한다.
- 서비스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간편결제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자체 PG를 사용할지, 기존 PG사와 연동할지 결정
-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는 자체 PG를 운영하지만, 기존 PG사와도 연동이 가능하다.
- 기존 PG사를 통해 연동하면, 한 번의 계약으로 여러 간편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3) 결제 UX 최적화 필요
- 결제 단계가 너무 많으면 이탈률이 증가할 수 있음 → 위젯 기반 결제 지원 여부 확인
- 정기결제(구독 서비스) 지원 가능 여부도 고려해야 함
4) PG사별 수수료 차이 분석
- 자체 PG를 사용할 경우, PG사별 수수료 정책이 다를 수 있음
- 서비스 수익성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결제 수단을 선택해야 함
PG사 개념을 이해하면 결제 UX가 달라진다!
UX 기획자가 PG사 개념을 이해하면?
- 서비스에서 어떤 결제 옵션을 제공할지 전략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 결제 과정에서 사용자 경험(UX)을 최적화할 수 있다.
- PG사 선택에 따라 결제 수수료 & 연동 방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즈니스적으로도 중요하다.
결제는 단순한 기능이 아니다. 사용자의 최종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UX 요소이므로, 결제 과정에서 이탈률을 줄이고, 원활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UX 기획자의 역할이다!
'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8. 광고 수익형 UX 기획,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는 광고 모델 만들기 (0) | 2025.03.14 |
---|---|
57. UX 기획자를 위한 데이터 분석실무에서 꼭 알아야 할 개념과 활용법 (0) | 2025.03.13 |
55. 토스 위젯, PG사, 결제 로직 심화 분석 (0) | 2025.03.11 |
54. UX 기획자가 알아야 할 간편결제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간편결제 시스템 (0) | 2025.03.10 |
53. SNS 간편 로그인, 정말 간편할까? 회원가입 프로세스의 핵심 개념 정리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