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UX 4

61. 앱(App) vs. 웹(Web) 환경의 차이

앱(App)과 웹(Web)은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사용자 경험(UX)과 기술적인 차이가 크다. 어떤 서비스는 앱이 유리하고, 어떤 서비스는 웹이 더 효율적이다. 그렇다면 UX 기획자는 앱과 웹 환경의 차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이 글에서는 앱과 웹의 핵심 차이점과 UX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웹 기반 서비스 운영자, 모바일 앱 기획자, 개발팀과 협업하는 UX 기획자나 디자이너에게 유용한 가이드가 되었음 한다.  1. 앱과 웹의 기본 개념1) 앱(App) – 모바일에 최적화된 네이티브 환경모바일 OS(안드로이드, iOS)에 설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스마트폰 성능을 적극 활용할 수 있음 (GPS, 카메라, 푸시 알림 등)네이티브 앱(Native App), 하이브리드 앱(H..

39. UX 툴 추천 및 비교 : 어떤 도구를 선택해야 할까?

요즘 부쩍 작업 툴에 대해 회사에 맞게, 또는 프로젝트에 맞게 잘 이용해야한다는 생각이 들어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동료들이 나의 글이 도움이 되면 좋을거 같아 UX 툴에 대해 한 번 더 심도 있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UX 툴의 중요성 UX 디자인과 기획은 단순한 화면 설계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 적절한 UX 툴을 선택하면, 협업과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테스트가 훨씬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UX 툴은 너무 많다. Figma, Adobe XD, Sketch, Axure, Balsamiq 등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는데, 어떤 툴이 가장 적합할까? 이번 글에서는 주요 UX 툴을 비교하고, 상황별 추천까지 제공한다.  주요 UX 툴 비교UX 툴주요 기능장점단점추천 대상F..

22.시니어를 위한 UX 디자인, 더 고민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

시니어를 위한 UX 디자인은 단순히 글씨 크기나 버튼 크기만을 키우는 것이 아닙니다. 고령층 사용자들이 겪는 특수한 문제를 해결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자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는 디자인을 만들기 위해선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시니어 사용자를 위한 UX 디자인에서 더 고민해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제시합니다.  1. 신체적 제약을 고려한 디자인고령층 사용자들은 신체적 제약(예: 시력, 청력, 손의 미세한 움직임 등)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를 디자인에 반영해야 합니다.시력 문제 해결: 작은 텍스트나 흐릿한 대비는 사용자의 경험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큰 글꼴과 충분한 대비를 제공하며, 색상에 의존하지 않는 디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청력 문제: 소리를 중요한 피드백으로 사용하는 앱이..

21. 노약자를 위한 모바일 UX 디자인, 꼭 알아야 할 5가지 원칙

모바일 기기는 이제 누구나 사용하는 필수 아이템이 되었지만, 여전히 많은 노약자(시니어) 사용자들은 모바일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노약자들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노약자를 위한 모바일 UX 디자인에서 중요한 원칙들을 소개하겠습니다.  1. 가독성 강화시력이 약한 노약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바로 가독성입니다. 작은 글씨나 낮은 대비는 화면을 보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바일 디자인에서는 글자의 크기, 색상 대비 등을 최적화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글자 크기 조정: 기본 글자 크기를 크게 설정하고, 사용자가 글자 크기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옵션을 제공해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