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자, 장애인, 임산부, 어린이 등 교통약자를 위한 UX 디자인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IoT, 음성 기술, AR/VR, 스마트 모빌리티 등의 기술이 교통 접근성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교통약자를 위한 UX 개선에 활용되는 최신 기술을 살펴보겠습니다.

1.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맞춤형 이동 지원
- AI 기반 경로 추천 시스템
- 교통약자의 이동 패턴을 분석해 최적의 이동 경로를 자동 추천
- 예: 휠체어 사용자에게 엘리베이터와 저상버스를 포함한 경로 안내
- 챗봇 및 음성 비서 활용
- AI 챗봇을 통해 음성 명령으로 대중교통 정보를 검색
- 예: “서울역에서 강남역까지 저상버스를 이용한 경로 알려줘”
- 실시간 상황 대응 AI 시스템
- 길거리의 장애물, 엘리베이터 고장, 도로 공사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반영해 경로 자동 조정
2. IoT(사물인터넷) 기반 교통 서비스 개선
- 스마트 정류장 및 저상버스 연계
- 정류장에 IoT 센서를 설치해 저상버스 도착 정보 제공
- 고령자나 장애인이 정류장 도착 시 자동으로 탑승 요청
- 실시간 차량 내 환경 조절
- 온도, 습도, 조명을 자동으로 조절해 편안한 이동 환경 제공
- 예: 고령자나 임산부를 위해 차량 내 온도를 최적화
- 스마트 횡단보도 및 신호 시스템
- IoT 센서를 활용해 보행자 감지 후 신호 자동 연장
- 예: 고령자나 임산부를 위해 차량 내 온도를 최적화
3. 음성 기술 및 AR(증강현실) 내비게이션
- 음성 기반 UX (Voice UI)
-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안내 기능 강화
- 목적지까지 실시간 경로를 음성으로 안내하고, 장애물 감지 시 경고
- AR 기반 길찾기 UX
- 장애인 및 교통약자를 위한 AR 내비게이션 제공
-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휠체어 이동 가능 경로 시각화
- 스마트 글래스를 활용한 보행 보조
- 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글래스 자막 제공
- 실시간으로 버스 번호, 도착 시간, 주변 환경 정보 표시
4.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과 접근성 혁신
- 자율주행 차량과 교통약자 지원
- 휠체어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 AI 기반으로 노약자 친화적인 승하차 위치 자동 설정
- 모빌리티 플랫폼의 접근성 강화
- 교통약자를 위한 전용 호출 서비스(예: 장애인 택시, 저상버스 예약)
- 음성 인식, 큰 글씨 UI, 쉬운 결제 방식 제공
- 전동 휠체어 및 퍼스널 모빌리티 연계
- 공공 자전거, 킥보드뿐만 아니라 전동 휠체어 공유 서비스 확대
- 대중교통과 연계해 이동 효율성 극대화
교통약자를 위한 UX 디자인은 이제 단순한 편의 기능 추가를 넘어, AI·IoT·스마트 모빌리티 등의 기술과 결합해 진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서비스가 교통약자의 이동 경험을 향상시키고,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입니다.
반응형
'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자율주행 택시 & 대리운전 서비스, 어떻게 가능할까? (0) | 2025.02.08 |
---|---|
24. 자율주행 차량 UX : 인간과 AI의 새로운 협업 (0) | 2025.02.07 |
22.시니어를 위한 UX 디자인, 더 고민해야 할 중요한 포인트 (0) | 2025.02.05 |
21. 노약자를 위한 모바일 UX 디자인, 꼭 알아야 할 5가지 원칙 (0) | 2025.02.04 |
20. AI와 UX : 인공지능이 디자인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방법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