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경험 13

68. SaaS UX 기획 시리즈 ❸ Aha Moment – 이거다! 싶은 순간을 만드는 방법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지 말지를 결정짓는 순간이 있다. 바로 Aha Moment. 사용자가 “이거 되게 괜찮네”, “계속 써봐야겠다”라고 느끼는 경험의 임계점이다. 이 순간을 얼마나 빨리, 정확하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이탈율도, 리텐션도, 유료 전환율도 갈린다.   Aha Moment란?Aha Moment는 사용자가 서비스의 핵심 가치를 처음으로 체감한 순간을 의미한다.즉, 이 서비스를 왜 써야 하는지 ‘몸으로’ 느끼는 경험이다. 예를 들어 : 이 모든 순간은 “이 서비스 진짜 쓸만하네”라는 판단을 유도한다Notion: 템플릿으로 문서 하나 만들고, 정리된 나만의 공간이 생겼을 때Figma: 다른 디자이너와 동시에 작업해보며 실시간 협업이 된다는 걸 느꼈을 때Slack: 채널 초대..

66.SaaS UX 기획 ❶ | 온보딩, 이탈을 막는 설계의 시작!

SaaS 서비스에서 유저가 이탈하는 시점은 생각보다 빠르다. 대부분 첫 진입 후 몇 분 이내에 떠날지, 남을지가 결정된다.그래서 온보딩(첫 사용 경험)은 단순한 안내가 아니라, “이 서비스, 계속 써야겠다”는 느낌을 주는 ‘설계된 흐름’이어야 한다. 1. 온보딩의 핵심 목표는 ‘익숙하게 만들기’온보딩은 튜토리얼이 아니다. 기능을 하나하나 설명하는 게 아니라, 사용자가 목적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여정이다.Notion템플릿 추천 → 바로 사용 가능 첫 문서 작성 → 마크다운 편집바로 ‘내 공간’처럼 느끼게 만듦2. 좋은 온보딩 흐름이란?1) 최소한의 입력만 받기회원가입/로그인 시: 이름, 이메일 정도만너무 많은 초기 정보 요구 = 진입장벽2) 기능 소개는 ‘체험’으로 제공하기단순히 툴팁을 나열하는 게..

58. 광고 수익형 UX 기획,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는 광고 모델 만들기

광고 수익을 창출하면서도, 사용자 경험(UX)을 해치지 않는 방법이 있을까? 많은 서비스가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지만, 잘못된 광고 배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이탈률을 높일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광고 수익과 UX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PM를 하면서 상품이 시장이 나가기 전에 기본적인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사용자에게 광고를 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하게 된다. 나와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이 있다면, 내가 도움되었던 원칙? 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1. 광고 수익형 UX 기획이 중요한 이유 많은 서비스가 광고(Ad) 기반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가 사용자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과도하게 노출되면, 오히려 서비스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