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123

225. 기능 우선순위 문서, 이렇게 정리하면 됩니다

기획은 하고 싶은 게 아니라, 해야 할 걸 선택하는 일입니다 PO/기획자로 일하다 보면기능 아이디어는 넘쳐나는데,막상 “어떤 걸 먼저 해야 하죠?”라는 질문엔 말문이 막힐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필요한 게 바로 기능 우선순위 문서(Prioritization Doc)입니다. 이 문서는 단순한 리스트가 아닙니다. 리소스는 한정되어 있고, 모두가 다른 의견을 낼 때객관적인 기준으로 방향을 제시해주는 전략 도구입니다.우선순위를 정하는 기준, 꼭 있어야 합니다기능 우선순위는 사람마다 다르게 느껴집니다.→ “이거 급해요!”→ “아니, 이건 꼭 이번에 들어가야 해요!” 그래서 우선순위 기준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팀 전체가 감정적으로 결정하게 되고, 후폭풍이 생깁니다. 실무에서 많이 쓰는 기준 3가지1. Impact ..

224. 문제 정의서, 기획의 출발점이 되는 문서

좋은 기능은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기획을 하다 보면,“이거 새로 만들면 유저가 좋아할 것 같아요” 라는 말, 많이 들려옵니다. 그런데 정말 그게 유저가 원하는 걸까? 아니면 우리가 ‘만들고 싶은 걸 합리화’하고 있는 건 아닐까?기획과 제품 개발은 문제 해결입니다. 좋은 문제 정의서 없이 만든 기능은, 그냥 ‘기획자의 착각’일 수 있어요. 문제 정의서란?문제 정의서는 기능을 기획하기 전에,사용자의 Pain Point가 정확히 무엇인지 정리하는 문서입니다.어떤 유저가어떤 상황에서어떤 문제를 겪고 있고그 문제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명확히 정리합니다. 문제 정의서 기본 구조1. 사용자 정의 (User Segment)어떤 유형의 사용자인가?예: 신규 유입 유저 / 충성 고객 / 1회 이용..

223. 제품 로드맵, PO는 이렇게 씁니다

방향 없는 실행은 의미 없습니다 “이제 뭘 만들지?”“왜 이 기능이 먼저야?”팀에서 이런 질문이 자주 나온다면, 로드맵 문서가 없거나 명확하지 않다는 신호입니다. PO는 제품의 방향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잡고, 그 내용을 로드맵 문서로 팀과 공유해야 합니다.오늘은 PO 실무에서 꼭 필요한 제품 로드맵 문서의 구조와 작성 팁을 정리합니다. 로드맵은 전략 문서다많은 팀에서 로드맵을 단순 일정표나 기능 리스트로 생각합니다.하지만 PO가 작성하는 로드맵은 전략 문서입니다. 즉, “무엇을 언제 만들 것인가”뿐만 아니라,“왜 이걸 지금 해야 하는가”를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제품 로드맵 구성 5단계1. 목표 설정분기/반기 단위로 제품이 달성해야 할 핵심 목표(KR)예: 유입 증가, 전환율 개선, ARPU 향상2. 전략..

222. PO(Product Owner)가 꼭 작성해야 할 핵심 문서 5가지

제품 전략은 문서에서 시작된다 PO는 단순히 기능을 기획하는 사람이 아닙니다.제품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결정에 책임지는 사람이죠.그래서 PO가 작성하는 문서는 단순한 기획서가 아니라,비즈니스 전략 + 사용자 문제 + 우선순위 판단을 담은 전략 문서가 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PO가 실무에서 꼭 작성해야 할 핵심 문서 5가지를 정리합니다.1. 제품 로드맵 (Product Roadmap)왜 필요한가?: 팀과 이해관계자에게 제품의 큰 방향과 일정 계획을 공유하기 위해 핵심 포함 요소분기별/월별 기능 출시 계획기능/개선/테크 부채 등 분류각 항목의 목적, 기대 효과, 우선순위작성 팁모든 기능을 다 넣기보단 ‘핵심 방향성’ 위주로내부용/외부용 버전 나눠 관리하면 유용2. 문제 정의서 (Problem Stateme..

221. PO 커리어, 이런 사람에겐 안 맞을 수도 있습니다

솔직한 직무 궁합 점검 PM에서 PO로의 커리어 전환, 많은 실무자들이 고민하지만… 사실 모든 사람에게 맞는 역할은 아닙니다.오늘은 PO 커리어가 맞지 않을 수도 있는 사람들의 특징을 실무 관점에서 솔직하게 정리해볼게요. 1. 불확실한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사람PO는 늘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누구도 정답을 알려주지 않고, 때로는 ‘틀릴 수도 있는 결정’을 해야 하죠. “이 방향이 맞을까?”“내가 틀리면 팀 전체가 고생하는데…” 이런 불확실성 자체가 스트레스라면, PO 역할은 너무 버겁게 느껴질 수 있어요. 2. 숫자와 데이터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PO는 직감이나 감성보다 데이터 기반 사고가 필수입니다.전환율, 리텐션, KPI 달성률A/B 테스트 결과 해석비즈니스 임팩트 시뮬레..

220. PO가 되는 5가지 현실적인 방법: 실무에서 전환하는 법

실무에서 자연스럽게 전환하는 법 PO 되고 싶어요. 근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실무에서 이런 질문, 정말 자주 듣습니다. PO는 정해진 자격증이 있는 것도 아니고, PM → PO로 가는 커리어 루트도 명확하지 않다 보니,막연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죠. 오늘은 현업에서 PM이 PO로 전환되는 현실적인 5가지 경로를 소개합니다. 1. 맡은 영역의 오너십을 점차 넓히기초기에는 단일 기능 또는 특정 섹션의 PM이더라도, 기획 + 성과 관리 + 방향성까지 조금씩 맡다 보면PO와 유사한 업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 “기획서를 잘 쓰는 사람”에서👉 “숫자와 방향을 같이 보는 사람”으로 관점을 키워보세요. 2. PO가 없는 조직에서 기회를 찾기스타트업, 신사업 조직 등에서는PM이 PO 역할까지 겸하는 상황..

119. PO의 문서 작성법 : 기획안이 아니라 전략서다

PM 시절에는 주로 기능 중심의 기획서를 작성합니다.이 기능이 어떤 구조로 만들어져야 하고, 사용자는 어떻게 이용하게 되는지. 그런데 PO가 되면, 문서의 목적이 달라집니다.이제는 “왜 이 기능이 필요한가?”, “이게 비즈니스에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설득하는 전략서가 핵심입니다.1. 기획서 vs 전략서 : 관점이 다르다항목PM의 기획서PO의 전략서목적기능 설계/정의제품 방향 설계주요 내용UX 흐름, 페이지 구조, 예외 케이스 등문제 정의, 시장 근거, 수익 기대, 우선순위독자개발자, 디자이너경영진, 마케팅, 이해관계자 2. PO 문서는 왜 설득력이 필요할까?PO 문서는 단순한 ‘공유’가 아니라 결정권자 설득 + 방향 정리를 위한 문서입니다. 문서로 자주 들어가는 항목 예시:문제 정의 + 사용자 페인포..

118. PM에서 PO로 전환하기 전, 꼭 점검할 3가지

많은 기획자와 PM이 커리어를 고민하다 보면이 질문에 도달합니다:“나도 이제 PO로 넘어가야 할까?” 하지만 PM과 PO는 완전히 다른 시선과 책임을 지는 역할입니다.따라서 단순한 직급 상승이 아니라, 내가 이 역할을 감당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스스로 점검해야 하죠.1. ‘비즈니스적 판단’이 익숙한가?PM은 서비스 흐름과 기능 설계에 익숙하지만, PO는 매 순간 비즈니스 관점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예상 질문:“이 기능의 KPI는 뭐야?”“수익에 얼마나 기여해?”“시장 타이밍은 적절한가?”👉 이런 질문에 답할 수 없다면 PO 업무는 쉽지 않습니다. PM 업무에서 데이터를 근거로 한 판단 훈련을 미리 시작하세요. 2. ‘정답 없는 의사결정’을 감당할 수 있는가?PO는 매일 “정답이 없는 선택지” 앞에 서게..

117. PO는 실제로 어떤 일을 하나요?

PM과는 다른 하루 일과 PM이 개발자/디자이너와 일정을 맞추고요구사항을 정리하는 역할이라면, PO는 고객/시장/이해관계자와의 접점을 바탕으로 제품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입니다. 그럼 PO의 하루는 어떤 일로 구성될까요? 1. PO는 제품의 방향을 책임진다PO는 ‘무엇을 만들지’를 결정하는 사람입니다. 이 결정은 단순히 내부 요청이나 운영 편의가 아니라,시장 흐름과 사용자 문제 해결을 기반으로 내려야 하죠. 주요 업무 예시:제품 로드맵 작성 및 주기적 리뷰새로운 기능 제안 → 시장/고객 근거 수집성과지표(KPI, 리텐션, 전환율 등) 모니터링2. 고객/이해관계자 커뮤니케이션이 많다PM은 팀 내부 커뮤니케이션에 집중한다면, PO는 외부와도 많은 접점을 가집니다. PO가 자주 만나는 대상들:경영진 (비즈니스 ..

116. PM과 PO는 뭐가 다를까? 실무에서 느낀 진짜 차이

PM(프로덕트 매니저)과 PO(프로덕트 오너)는 이름만 보면 비슷하지만,실무에서의 역할과 시선은 꽤 다릅니다. 특히 기획자 출신 PM이 PO 역할을 맡게 되면,“생각보다 다른 일인데?“라는 당황스러움을 자주 겪죠. 오늘은 실무에서 느낀 PM과 PO의 진짜 차이, 그리고 PM이 PO로 전환하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정리해봅니다. 1. PM과 PO, 이름은 비슷한데 뭐가 다를까?항목PMPO주요 시선프로젝트 진행비즈니스 성과책임 대상기능/서비스 완성도제품의 수익성과 전략협업 주체디자이너, 개발자비즈니스 오너, 이해관계자주요 활동요구사항 정의, 우선순위 정리, 일정 조율제품 방향 제시, 고객/시장 관점 의사결정 → 한마디로 말하면, PM은 운영 중심, PO는 비즈니스 중심입니다. 2. 실무에서 가장 혼동되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