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1

111. 가입부터 결제까지, 사용자 흐름 설계 이렇게 한다

서비스를 설계할 때,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 어떤 과정을 거쳐 원하는 목표(예: 구매, 예약, 신청 등)를 달성하게 되는지 전 과정을 흐름으로 설계해야 합니다. 이 흐름을 우리는 '사용자 여정(User Journey)'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UX 기획자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설계하게 되는 여정 중 하나인, “회원가입부터 첫 구매까지”의 대표적인 퍼널 구조를 정리해봅니다. 1. 사용자 유입 단계광고, 검색, SNS, 추천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입랜딩 페이지 또는 홈화면에서 ‘무엇을 하는 서비스인지’ 명확히 인지시켜야 함UX 포인트첫 화면에 핵심 가치를 강조하는 카피 및 이미지 배치'지금 시작하기' CTA 버튼을 눈에 잘 띄게 배치2. 회원가입/로그인 단..

110. 기획자/PM을 위한 실무형 노션 템플릿 A to Z

직장인이자 실무 PM인 너를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Notion 세팅 가이드입니다.한 번 세팅하면 반복 업무와 정보 정리에 드는 시간을 30% 이상 줄일 수 있어요. 1. 프로젝트 관리 보드페이지명: Projects (or 진행 중인 프로젝트명)구성: Notion 데이터베이스 (보드 or 테이블 뷰)필드 추천:프로젝트명진행 상태 (To Do / Doing / Done / On Hold)담당자시작일 / 종료일중요도 (High / Mid / Low)관련 링크 (기획안, 회의록 등)활용 팁:Linear처럼 Kanban 보드 뷰로 관리필터로 '내 담당'만 보기 가능2. 기획 & 회의 문서페이지명: Docs & Meetings추천 템플릿:기능 기획안: 배경 / 목표 / 대상 / 기능 목록 / 디자인 가이..

109. PM이 잘하는 팀은 협업 구조부터 다릅니다

PM이 잘하는 팀은 뭐가 다를까? 실무 협업 구조의 핵심 정리PM이 아무리 뛰어나도, 팀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실무에서 'PM이 잘하는 팀'은 단순히 개인이 열심히 일하는 게 아니라, 협업 구조가 정리되어 있고, 흐름이 막히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PM 관점에서 팀이 잘 돌아가도록 만드는 핵심 협업 구조를 정리합니다. 1. 정보가 모이고 흘러야 한다정보는 정리되어 '찾을 수 있어야' 하고, 필요할 때 '흘러가야' 합니다.회의록, 기획안, 정책, QA 결과 등 모든 산출물은 한 곳(툴)에 정리되어야 함실무 팁:Notion을 정보 허브로, Linear는 이슈 허브로 구분해서 사용링크 하나면 모든 팀원이 같은 정보를 보게 만들 것2. 책임과 컨펌의 기준이 명확하다누..

108. PM이 처음 해야 할 일? 이 체크리스트부터 확인하세요

실무에서 바로 쓰는 PM 체크리스트: 초기 세팅을 위한 핵심 항목PM이 새 프로젝트나 신규 서비스에 투입되었을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판을 깔고 흐름을 정리하는 것'입니다.단순히 기획서를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협업의 흐름을 설정하고, 기준점을 세우는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PM 초기 세팅 체크리스트를 정리해드립니다. 1. 목적과 KPI 정리프로젝트의 핵심 목적을 정의했다KPI(성과지표)를 수치로 정했다 (예: DAU, 전환율 등)KPI를 조직과 공유하고 확정했다2. 주요 역할 및 컨펌자 정의기획/디자인/개발/운영 각 담당자를 정했다각 영역의 컨펌 기준을 정리해 문서화했다컨펌 흐름에 혼선이 없도록 공유했다3. 커뮤니케이션 툴 및 기록 구조 설정협업 툴(예: No..

107. 좋은 PM의 공통점? 실무에선 이 5가지가 통합니다

좋은 PM의 조건: 실무에서 통하는 5가지 핵심 역량PM은 다양한 팀 사이에서 조율하고, 방향을 설정하며, 결과를 만들어내는 직무입니다. 하지만 '좋은 PM'은 단순히 일정 잘 맞추는 사람 그 이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인정받는 PM들이 공통으로 갖고 있는 핵심 역량 5가지를 정리해봅니다. 1. 문제 정의 능력좋은 PM은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고, 팀의 논점을 문제 중심으로 재정렬합니다.단순 이슈 나열이 아닌, '이 문제가 왜 생겼고 무엇을 바꿔야 하는가'를 정의하는 힘기능 요청이 들어와도 먼저 문제 정의부터 다시 확인함실무 예: "이 기능을 넣는 게 아니라, 이탈 이유를 먼저 확인하죠." 2. OKR 기반 목표 설계 능력PM은 단순한 '업무 리스트'가 아니라 성과 기반의 목표 관리를 해야 합니..

106. PM과 기획자, 실제로 뭐가 다를까?

PM과 기획자, 비슷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조직에서는 이 둘의 역할이 섞여 있거나, 애매하게 운영되기도 하죠.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기획자와 PM이 어떻게 다른 역할을 맡는지, 그리고 역할이 중첩될 때 어떻게 구분하면 좋은지 정리해봅니다. 1. 정의부터 다르다항목기획자PM목적기능 중심 설계제품 전체의 방향 관리주요 결과물기획서, 화면 설계일정표, 로드맵, OKR, 협업 구조관점사용성과 기능성시장성, 전략성, 운영성 포함 OKR이란? Objectives and Key Results의 약자로, 목표(Objectives)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설정해조직이나 팀,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식이야.2. 주요 업무 비교항목기획자PM와이어프레임 설계✅ ..

카테고리 없음 2025.05.08

105. PM은 뭘 하는 사람인가요? 실무자가 정리해봤습니다.

PM이라는 직무는 회사마다 다르고, 사람마다 정의도 다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PM을 처음 시작한 사람들은 "PM이 도대체 뭘 하는 사람이지?"라는 질문을 자주 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PM이 어떤 역할을 맡는지, 이론이 아닌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기준으로 정리해봅니다. 1. PM은 '기획자'가 아니다 (하지만 기획을 한다)PM이 기획서를 쓰는 일도 많지만, 단순히 '기획자'로 보는 건 오해입니다. PM은 기획뿐 아니라 목표 설정, 일정 조율, 협업 구조 설계, 결과 리뷰까지 모든 흐름을 총괄하는 사람입니다.기획자가 '무엇을 만들까'를 고민한다면PM은 '왜 만들어야 하는가',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가', '언제까지 가능한가'까지 보는 시야입니다.2. PM은 팀의 '통역가'이자 '조율자..

104.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UX 심리학 5가지 원칙

UX 설계에서 심리학은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기능을 나열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의 행동을 이끌어낼 수 없습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행동을 자연스럽게 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심리적 원칙을 이해하고 설계에 녹여야 합니다. 오늘은 UX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는 심리학 5가지 원칙을 정리해봅니다. 1. 선택 과부하(Choice Overload)선택지가 많으면 사용자는 오히려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습니다.가입 시, 상품 선택 시, 결제 방법 선택 시 등에서 필수 선택지를 최소화하고, 핵심 옵션만 부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예시:"가입할 때 소셜 로그인 2~3개만 제공""상품 필터를 단순화" 2. 사회적 증거(Social Proof)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기준 삼아 판단하는 ..

103. UX 기획자가 이탈 없이 가입/결제를 설계하는 방법

서비스를 기획할 때 가장 중요한 구간 중 하나가 바로 '가입'과 '결제'입니다. 아무리 멋진 서비스도 가입이 어렵거나, 결제가 복잡하면 사용자는 이탈합니다. 그래서 UX 기획자는 가입과 결제 플로우를 설계할 때 반드시 기본 구조를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오늘은 가입과 결제 흐름을 설계할 때 꼭 챙겨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봅니다.1. 가입 플로우 기본 구조 가입 진입 '회원가입' 버튼 위치는 명확해야 한다. 로그인과 회원가입 버튼을 구분하거나, 회원가입을 부각해야 한다. 인증 단계 이메일 인증 / 휴대폰 인증 / 소셜(SNS) 간편가입 제공 여부 결정 인증 수단이 복잡하면 이탈률이 급격히 높아진다. 기본 정보 입력 최소한의 정보만 요청하..

102. 보고를 잘하면 신뢰도는 따라온다

보고를 잘하면 PM이 일도 잘한다고 느껴진다기획자는 업무 흐름을 조율하고, 여러 팀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해야 합니다. 그만큼 '보고'는 실무 PM의 핵심 커뮤니케이션이자 신뢰를 쌓는 중요한 방식이죠. 보고를 잘하는 PM은 자연스럽게 팀 내에서 '일이 되는 사람'으로 인식됩니다. 오늘은 보고를 잘하는 기획자가 되기 위한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볼게요.보고를 잘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만 명확하게 전달한다 : A부터 Z까지 다 말하는 게 아니라, 요점 중심으로 전달문제 없이 흘러가더라도 진행 상황을 정기적으로 공유한다 : 사전 공유만으로도 신뢰를 얻을 수 있음문제가 생겼을 땐 책임 회피가 아닌 '상황 판단 + 다음 행동' 중심으로 말한다 : 문제 자체보다 "이걸 이렇게 해결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