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정의 2

224. 문제 정의서, 기획의 출발점이 되는 문서

좋은 기능은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는 데서 시작됩니다 기획을 하다 보면,“이거 새로 만들면 유저가 좋아할 것 같아요” 라는 말, 많이 들려옵니다. 그런데 정말 그게 유저가 원하는 걸까? 아니면 우리가 ‘만들고 싶은 걸 합리화’하고 있는 건 아닐까?기획과 제품 개발은 문제 해결입니다. 좋은 문제 정의서 없이 만든 기능은, 그냥 ‘기획자의 착각’일 수 있어요. 문제 정의서란?문제 정의서는 기능을 기획하기 전에,사용자의 Pain Point가 정확히 무엇인지 정리하는 문서입니다.어떤 유저가어떤 상황에서어떤 문제를 겪고 있고그 문제가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명확히 정리합니다. 문제 정의서 기본 구조1. 사용자 정의 (User Segment)어떤 유형의 사용자인가?예: 신규 유입 유저 / 충성 고객 / 1회 이용..

89. 기획서보다 먼저, 문제부터 정의하자

기획서는 PM에게 있어 기본 중의 기본이죠. 하지만 정말 실무에선, 기획서보다 먼저 챙겨야 할 게 있습니다. 바로 ‘문제 정의’입니다. 아무리 기획서가 잘 짜여 있어도, 문제를 잘못 정의했다면 결국 잘못된 방향으로 리소스를 쓰게 돼요. 시간도, 비용도, 협업자의 노력도 엉뚱한 곳에 쓰이죠. 기획서보다 중요한 ‘문제 정의’많은 PM들이 실무에서 기능을 먼저 설계하려고 합니다. “뭘 만들까?”에 초점을 맞추죠.하지만 ‘왜 만들까?’, 이게 불분명하면 팀 전체가 흔들립니다. 기획서의 시작점은 기능이 아니라 문제여야 합니다. 문제가 명확해야, 그걸 해결하기 위한 설계가 명확해지고,개발자와 디자이너, 운영자 모두 같은 방향을 바라볼 수 있어요. 문제 정의가 잘못되면 생기는 일각자 다른 문제를 가정하고 설계함우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