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06. PM과 기획자, 실제로 뭐가 다를까?

U.X Um 2025. 5. 8. 22:01

PM과 기획자, 비슷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명확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조직에서는 이 둘의 역할이 섞여 있거나, 애매하게 운영되기도 하죠.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기획자와 PM이 어떻게 다른 역할을 맡는지, 그리고 역할이 중첩될 때 어떻게 구분하면 좋은지 정리해봅니다.
 

 

1. 정의부터 다르다

항목기획자PM
목적기능 중심 설계제품 전체의 방향 관리
주요 결과물기획서, 화면 설계일정표, 로드맵, OKR, 협업 구조
관점사용성과 기능성시장성, 전략성, 운영성 포함

 
OKR이란? Objectives and Key Results의 약자로, 목표(Objectives)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설정해
조직이나 팀,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식이야.

2. 주요 업무 비교

항목기획자PM
와이어프레임 설계✅ 주도참고 및 리뷰
기능 플로우 설계✅ 주도방향성 조율
사용자 조사보조✅ 주도 혹은 설계 방향 주도
스프린트 관리❌ 비중 낮음✅ 주도
이슈 조율 (개발/디자인)보조✅ 주도

 
→ 기획자는 '무엇을 만들 것인가'에 집중, PM은 '왜 만들며 어떻게 성공시킬 것인가'에 집중합니다.
 

3. 협업 관계일 때 좋은 시너지 구조

  • 기획자가 사용자 경험과 기능 설계에 집중할 수 있도록 PM은 일정/리스크/성과 중심의 전체 설계를 관리 서로의 역할을 명확히 인정하고 '컨펌 vs 책임'의 경계를 조율하는 것이 중요

실무 예시 :

  • 기획자가 만든 화면 흐름을 PM이 개발팀과 함께 기술 구현 가능성을 조율
  • PM이 수립한 OKR에 따라, 기획 방향이 우선순위 조정됨

4. 역할이 애매할 땐?

스타트업이나 인력 제한이 있는 팀에서는 PM과 기획자의 역할이 섞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땐 '기획자처럼 행동하는 PM'이 아니라, 'PM 역할을 맡은 기획자'로서 움직이는 게 중요합니다. 즉,PM은 전체 구조를 책임지는 시야를 유지하고, 기획은 세부를 설계하는 흐름을 나누는 게 핵심입니다.
 

정리하며

PM과 기획자는 다르지만,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역할입니다. 역할의 경계를 명확히 하면, 더 효율적이고 충돌 없는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다음 편에서는 좋은 PM의 조건, 실무에서 PM이 어떤 역량을 가져야 평가받는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