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93. 좋은 KPI는 팀을 움직이게 만든다

U.X Um 2025. 4. 18. 19:46

PM 회의에서 자주 듣는 말이 있어요.

“우리 이번 분기 KPI는 뭐로 잡을까요?”

 

근데 그때 정한 KPI, 나중엔 아무도 안 보거나 “이걸로 뭘 하라는 거지…?” 하는 경우 많지 않나요? 사실 실무에서 KPI는 숫자를 세는 게 아니라 방향을 잡는 도구예요. 오늘은 KPI 설정 시 흔히 하는 실수와, 실전 팁을 정리해볼게요.

 

흔한 실수: KPI = 그냥 숫자?

많은 팀이 KPI를

“방문자 수 30% 증가”
“매출 2배”
이런 식으로 설정해요.

 

겉으로 보기엔 명확해 보여도, 행동 유도가 안 되는 KPI는 실속 없는 수치일 수 있어요.

 

실행력 있는 KPI란?

좋은 KPI는 팀이 ‘어디에 집중할지’ 명확하게 만들어줘야 해요.

  • 예시
    •  “서비스 인지도 향상” → 추상적  “유입 채널별 신규회원 20% 증가” → 구체적

좋은 KPI의 조건은 3가지예요 

  1. 측정 가능해야 한다
  2. 기한과 대상이 명확해야 한다
  3. 행동을 유도해야 한다

실전에서 본 나쁜 KPI vs 좋은 KPI

나쁜 KPI 이유
“고객 만족도 향상” 측정 불가능 / 누구 기준인지 모름
“앱 리뷰 점수 4.8 이상” 유도 방법이 없음 / 사용자 통제 불가
좋은 KPI 이유
“월간 고객문의 20% 감소” 측정 가능 + 실행 전략 수립 가능
“신규 가입자의 50%가 첫 결제까지 유도” 행동 유도 중심 설계 가능

 

팁: KPI = 목표 + 성과 + 액션 연결 구조로

KPI 설정은 단순한 숫자 세기가 아니라 “팀이 지금 뭘 해야 하는가?”를 정리하는 행위예요.

 

예를 들어

“재방문율 30% 증가” KPI를 설정했다면

→ 어떤 기능을 개선해야 하는지

→ 어떤 메시지를 보내야 하는지를 함께 정리해야 의미가 있어요.

 

정리하며

실무에서 KPI는 팀의 나침반입니다. 하지만 잘못 세운 KPI는 그냥 숫자 장식에 불과하죠.

 

다음에 KPI 정할 일이 있다면, 이렇게 질문해보세요:

  • 이건 측정 가능한가?
  • 이 숫자를 보면 내가 뭘 해야 할지 감이 오는가?
  • 이 지표는 팀을 움직이게 만드는가?

이 세 가지에 ‘YES’가 나와야 진짜 KPI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