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다크 모드 UI 디자인,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방법
최근 많은 앱과 웹사이트에서 다크 모드(Dark Mode)를 지원하고 있다.유튜브, 트위터(X),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iOS & 안드로이드 기본 UI까지…
사용자들은 다크 모드를 선호하며, 점점 더 많은 서비스에서 기본 제공하는 기능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UX/UI 기획자는 다크 모드를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다크 모드가 주는 이점과 단점, 그리고 내가 디자인할 때 고려해야 할 UX/UI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1. 다크 모드란?
다크 모드(Dark Mode)란?
- 배경을 어둡게 하고 텍스트나 UI 요소를 밝게 표현하는 UI 모드
- 일반적인 라이트 모드(Light Mode)와 대비되는 화면 스타일
- OLED 및 AMOLED 디스플레이에서 배터리 절약 효과를 가짐
다크 모드가 인기 있는 이유?
- 눈의 피로를 줄임 – 특히 야간 사용 시 편안한 화면 제공
- 배터리 절약 효과 – OLED 화면에서는 검은색 픽셀이 전력 소모를 줄임
- 고급스러운 느낌의 UI 제공 – 프리미엄 UX를 원하는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
2. 다크 모드 UI 디자인의 핵심 원칙
다크 모드를 디자인할 때 주의해야 할 5가지 UX/UI 원칙
1) 완전한 검은색(#000000) 대신 다크 그레이(#121212) 사용하기
- 완전한 블랙(#000000) 배경은 너무 강한 대비를 만들어 눈이 피로함
- 대신, 짙은 회색(#121212, #1E1E1E 등)을 사용해 가독성을 높임
예) 구글 머티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에서는 #121212 권장
2) 명암 대비(Contrast)를 적절히 조정하기
- 배경과 텍스트 컬러의 대비가 너무 강하면 눈이 피로해질 수 있음
- 밝은 텍스트(#FFFFFF) 대신 소프트 화이트(#EDEDED, #CCCCCC) 사용 권장
- 버튼, 카드 UI는 대비를 줄여 부드러운 시각적 경험 제공
3) 색상 사용 시 채도를 낮춰서 부드럽게 표현하기
- 다크 모드에서는 강한 원색(레드, 블루, 그린 등)이 너무 튀어 보일 수 있음
- 채도를 낮춘 컬러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톤을 유지하는 것이 좋음
예) 밝은 파랑(#007AFF → #8AB4F8), 밝은 빨강(#FF3B30 → #FF6961)
4) 그림자(Shadow) 대신 강조(Glow) 효과 활용
- 다크 모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어두운 배경이므로, 그림자가 잘 보이지 않음
- 대신, 글로우 효과(Glow Effect)나 밝은 테두리(Stroke)를 추가해 입체감을 줌
- 버튼, 카드, 팝업 등의 요소에 적절한 강조 효과를 적용
5) 다크 모드 & 라이트 모드 간 UI 통일성 유지
- 사용자가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일관된 UI 요소 유지
- 아이콘, 버튼, 일러스트 등이 양쪽 모드에서 동일하게 보여야 함
- 예) 다크 모드에서도 브랜드 컬러를 유지하지만, 대비를 최적화해야 함
3. 다크 모드 UI 디자인 적용 사례
다크 모드를 성공적으로 적용한 서비스
1) 유튜브(YouTube) 다크 모드 UX
- 다크 그레이(#181818) 배경 적용
- 대비를 줄여 가독성을 높인 화이트 텍스트 (#EDEDED)
- 썸네일과 버튼에 대비를 줘 클릭 유도
2) 트위터(X) 다크 모드 UX
- “Dim(어두운 회색)” & “Lights Out(완전 블랙)” 두 가지 다크 모드 제공
- 유저의 선호도에 따라 선택 가능
- 다크 모드에서도 브랜드 아이덴티티 유지
3) 애플 iOS 다크 모드 UX
- iOS 시스템 전반적으로 다크 모드를 지원
- 배터리 절약 효과 & 눈 보호 기능 강화
- 개발자 가이드에서 명확한 다크 모드 규칙 제공
4. UX 기획자가 다크 모드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 할 것들
UX 기획 단계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4가지 요소
1) 사용자가 다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옵션 제공
- 강제 적용 X → 사용자가 직접 다크 모드 ON/OFF 가능하도록 설계
- 시스템 설정(iOS/안드로이드)의 다크 모드와 동기화할 수도 있음
2) 배경 & 텍스트 대비를 고려한 UI 테스트 필수
- WCAG(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기준에 맞춰 가독성 테스트
- 다크 모드에서 텍스트 크기, 버튼 크기, 색상 대비를 충분히 검토
3) 다크 모드에서 브랜드 컬러가 어떻게 보이는지 체크
- 브랜드 컬러가 다크 모드에서 왜곡되지 않도록 대비 조정 필요
- 예) 로고, 버튼 컬러가 너무 튀지 않도록 배경과 조화롭게 적용
4) 일관된 UX 경험 제공
- 라이트 모드 ↔ 다크 모드 전환 시 디자인이 통일성 있게 유지
- 다크 모드에서도 내비게이션, 버튼 위치, 콘텐츠 레이아웃 유지
5. 결론: 다크 모드는 단순한 색상 변경이 아니다!
다크 모드 UX를 잘 설계하면?
- 사용자의 눈 피로 감소 & 배터리 절약 효과 증가
- 야간 사용 시 더 부드러운 사용자 경험 제공
-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차별화된 UI 제공 가능
UX 기획자는 단순히 다크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UI 디자인을 설계해야 한다! 지금 운영하는 서비스에서 다크 모드를 최적화할 방법이 있는지 고민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