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디자이너로 살아남기
223. 제품 로드맵, PO는 이렇게 씁니다
U.X Um
2025. 6. 26. 23:51
방향 없는 실행은 의미 없습니다
“이제 뭘 만들지?”
“왜 이 기능이 먼저야?”
팀에서 이런 질문이 자주 나온다면, 로드맵 문서가 없거나 명확하지 않다는 신호입니다.
PO는 제품의 방향과 우선순위를 명확히 잡고, 그 내용을 로드맵 문서로 팀과 공유해야 합니다.
오늘은 PO 실무에서 꼭 필요한 제품 로드맵 문서의 구조와 작성 팁을 정리합니다.

로드맵은 전략 문서다
많은 팀에서 로드맵을 단순 일정표나 기능 리스트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PO가 작성하는 로드맵은 전략 문서입니다.
즉, “무엇을 언제 만들 것인가”뿐만 아니라,
“왜 이걸 지금 해야 하는가”를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제품 로드맵 구성 5단계
1. 목표 설정
- 분기/반기 단위로 제품이 달성해야 할 핵심 목표(KR)
- 예: 유입 증가, 전환율 개선, ARPU 향상
2. 전략 영역 정의
-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방향 설정
- 예: 신규 유저 확보 / 리텐션 개선 / 고객 CS 감소
3. 기능 및 개선 항목 나열
- 전략별로 기능/개선 항목 분류
- 예: [리텐션 개선] → 푸시 설정 기능 추가, 쿠폰 리마인드 기능 개선
4. 일정 및 우선순위 표시
- 각 항목의 배포 목표 시기
- 우선순위 기준 (Impact-Effort, 팀 리소스, 위험도 등)
5. 효과 예상 (선택)
- 각 항목이 목표에 기여하는 정도
- 정량화 가능하면 KPI 예측 수치 포함
작성 팁
- 기능 중심이 아닌 ‘문제 해결’ 중심으로 구성 → 예: “회원가입 화면 개선” 대신 “전환율 1차 이탈 감소를 위한 개선”
- 시각화 요소 활용 (칸반, 타임라인 등) → 노션/피그잼/스프레드시트로도 쉽게 구현 가능
- 내부용 vs 외부 공유용 버전 분리 관리 → 외부 공유 시 기술 리소스/내부 우선순위는 생략해도 OK
- 정기적인 업데이트와 리뷰 필요 → 로드맵은 ‘살아 있는 문서’여야 함
이렇게 활용됩니다
- 신입 온보딩: “우리가 뭘 만들고 있는지” 빠르게 파악
- 리더십/경영진 보고: 방향성과 목표를 한눈에 정리
- 개발팀/디자인팀 협업: 일정·기능 우선순위 정렬에 도움
- 마케팅/CS팀: 어떤 기능이 언제 나올지 사전 공유
정리하며
PO는 ‘무엇을 만들지’보다
‘왜 지금 이걸 만들어야 하는가’를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제품 로드맵은 그 방향을 설명하고,
모두가 같은 목표를 향해 움직이게 만드는 문서입니다.
📌 좋은 로드맵은 단순한 리스트가 아닙니다.
비즈니스 전략과 실행력을 연결하는 브릿지입니다.